티스토리 뷰

오장의 기능과 육부의 기능에 대하여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내가 도사들의 말을 들으니 어떤 사람은 뇌수(腦髓)를 장()1)이라고 말하고 어떤 사람은 위장(胃腸)을 장(藏)이라고 말하며, 또 이것을 각각 부()2)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서로 상반되는 것 같아 다시 이를 물으니 모두 자기가 옳다고 주장하는 바, 나는 어떤 것이 옳은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이에 대하여 설명해 주길 원합니다.

1) 오장(五藏)은 심(心), 폐(肺), 비(脾), 간(肝), 신(腎)

2) ​육부(六府)는 담(膽), 위(胃), 소장(小腸), 대장(大腸), 방광(膀胱) 삼초(三焦)

 

기백이 대답합니다. 뇌(), 골수(), 뼈(), 맥(), 쓸개(), 자궁(女子胞)의 여섯 가지는 땅의 기운으로 생성된 것으로 모두 음()의 장()으로서 저장하는 기능이 있어 마치 땅과 같은 형상입니다. 고로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장(藏)의 역할은 하지만 저장물을 흘려 보내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특별한 부(奇恒之府, 기항지부)라고 합니다.

 

위, 대장, 소장, 삼초, 방광의 다섯 가지(육부 중 쓸개는 기항지부에 포함되고 여기에는 왜 빠졌는지 모르겠네요...)는 하늘의 기운으로 생성된 것으로 그 기운이 저장을 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움직이며 전달하는 하늘의 형상과 같습니다. 고로 흘려 보내긴 하지만 저장을 하는 장(藏)이 아닙니다. 이렇게 오장(五臟)의 찌꺼기를 받아서 필요한 양분을 흡수하고 남은 것은 내려 보낸다고 하여 전달하는 부(傳化之府, 전화지부)라고 합니다. 즉, 이것은 오랫동안 머물게 할 수 없고, 전달할 것과 배설할 것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백문(魄門, 항문을 말함)도 역시 오장의 전달자로서 음식물 찌꺼기가 오랫동안 몸 안에 머물지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소위 오장(五臟)이라는 것은 정기(精氣)를 저장하고 흘려 보내지 않기 때문에 항상 가득 채워져 있고(滿) 더 이상 채울 수는 없습니다.(不實) 육부()는 음식물을 변화시켜 흡수하고 저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계속 채울 수는 있지만(實) 가득 차게 만들 수는 없습니다.(不滿)  가득 차게 하면 아래로 밀어 내어 빈 자리를 만들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즉, 입으로 음식물이 들어가면 위(胃)가 가득 채워 지지만 장(腸)은 비어 있습니다. 음식물이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장(腸)이 가득 차게 되지만 위(胃)는 다시 빈 공간이 됩니다. 고로 육부는 채울 수는 있지만 가득 차서 넘치지는 않으며, 오장은 가득 차 있으며 더 이상 채울 수는 없습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손목 안쪽에 있는 촌구에서 맥이 뛰는 상태를 보고 어떻게 오장(五臟)의 작용변화를 이해할 수 있나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위()는 음식물의 바다(水穀之海)이며, 육부(六府)의 원천이 됩니다. 다섯 가지 맛을 가진 음식물이 입으로 들어오면 위에 저장이 되는데 비(脾)의 운화작용을 통해서 오장(五臟)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각각의 기(氣)를 형성합니다. 구(口)는태음폐경 (太陰肺經)에 속하는데 폐경이 모든 경맥의 시작점으로 온 몸의 경맥과 통하므로 오장육부의 기(氣)는 음식물이 들어간 위(胃)에서 생성되는 것이며 그것의 변화가 촌구의 맥에서 드러나게 되므로 촌구를 관찰하여 오장육부의 변화를 알게 되는 것입니다.

 

다섯 가지 냄새의 기()는 코로 들어오게 되는데, 심장과 폐로 들어가 저장이 됩니다. 따라서, 심장과 폐에 병이 생기면 코에 이상이 생기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병을 치료할 때 먼저 대소변의 상태를 관찰해야 하고, 맥박이 어떤지를 식별하고, 그 사람의 정신상태를 살핀관찰한 결과와 병과의 관계를 잘 살펴야 합니다. 만약 아픈 사람이 귀신을 맹신하는 사람이라면 그에게 의학적인 이치를 굳이 설명해 줄 필요는 없습니다. 또, 침을 매우 싫어하는 사람이라면 침을 놓아 병을 치료하는 원리에 대하여 굳이 설명해 줄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치료받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면 억지로 치료를 받도록 권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병을 치료해 준다고 해도 기대했던 효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 입니다.

 

 

 

五藏別論篇 第十一

 

第一章

 

黃帝問曰 余聞方士, 或以腦髓爲藏, 或以腸胃爲藏, 或以爲府,

 

敢問更相反, 皆自謂是, 不知其道, 願聞其說.

 

歧伯對曰 腦髓骨脈膽女子胞, 此六者, 地氣之所生也, 皆藏於陰而象於地, 故藏而不寫, 名曰奇恒之府.

 

夫胃大腸小腸三焦膀胱, 此五者, 天氣之所生也, 其氣象天,

 

故寫而不藏, 此受五藏濁氣, 名曰傳化之府, 此不能久留, 輸寫者也. 

 

魄門亦爲五藏使, 水穀不得久藏.

 

所謂五藏者, 藏精氣而不寫也, 故滿而不能實;

 

    六府者, 傳化物而不藏, 故實而不能滿也. 

 

所以然者, 水穀入口則胃實而腸虛; 食下則腸實而胃虛.  故曰 實而不滿, 滿而不實也.

 

 

第二章

 

    帝曰 氣口何以獨爲五藏主?

 

  歧伯曰 胃者水穀之海, 六府之大源也.

 

五味入口, 藏於胃以養五藏氣, 氣口亦太陰也, 是以五藏六府之氣味, 皆出於胃, 變見於氣口.

 

故五氣入鼻, 藏於心肺, 心肺有病, 而鼻爲之不利也.

 

第三章

 

凡治病必察其上下, 適其脈候, 觀其志意, 與其病也.

 

拘於鬼神者, 不可與言至德;

 

惡於鍼石者, 不可與言至巧;

 

病不許治者, 病必不治, 治之無功矣.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