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학질의 종류에 따라 침을 사용하는 곳과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습니다.

족태양방광경에 학질이 생기면, 허리가 당기면서 아프고 머리가 무거우며 찬기운이 등줄기를 타고 일어나 먼저 추위에 떨다가 나중에 열이 나게 됩니다. 타는 듯이 뜨겁게 달아오르다가 열이 그치면 땀이 나기 시작하는데 땀이 좀처럼 그치질 않습니다. 극중(郄中, 족태양방광경의 위중혈委中穴을 말함, 다리 뒤쪽의 접히는 부분인 오금주름이 있는 곳)에 침을 놓아 피를 냅니다.

 

족소양담경에 학질이 생기면, 온몸이 늘어져서 힘이 없어지고 추위를 타는 것이나 열나는 것이 심하지는 않지만 사람 만나는 것을 싫어하는데, 사람을 만나면 두려움에 근심이 커지고 열이 심하게 나면서 땀도 많이 나게 됩니다. 족소양경에 침을 놓습니다.

 

족양명위경에 학질이 생기면, 먼저 추위로 몸이 오싹오싹해지고 오한이 심하게 지속이 되면 열이 나게 됩니다. 열이 물러가면 땀이 나면서 해와 달의 밝은 빛과 뜨거운 기운을 좋아하며 이를 받으면 상쾌해집니다. 족양명의 부상(跗上, 족양명위경의 충양혈衝陽穴을 말함, 발등의 제일 높은 곳으로 동맥이 뛰는 곳)에 침을 놓습니다.

 

족태음비경에 학질이 생기면, 즐거운 마음이 생기지 않고 큰 한숨을 자주 쉬고 입맛이 떨어져 식사를 하지 못합니다. 추위에 많이 떨고 열이 난 뒤 땀을 흘리는데, 병이 나면 구역질을 많이 하다가 구역질을 멈추면 병이 약해집니다. 이 때 족태음경에 침을 놓아 치료합니다.

 

족소음신경에 학질이 생기면, 구토가 심해지고 추웠다가 열이 나는 현상이 반복되다가 바람이 싫어서 창문이나 출입문이 열리면 닫으려고 합니다. 이 병은 낫기가 어려운데 족소음경에 침을 놓습니다.

 

족궐음간경에 학질이 생기면, 허리에 통증이 오며 아랫배가 그득한데 소변을 보러 자주 가지만 소변이 원활하게 잘 나오지 않습니다. 정신적으로는 잘 놀라고 두려움도 많아지며 배 속이 답답하니, 족궐음경에 침을 놓아 치료를 합니다.

 

폐(肺)에 학질이 생기면, 심장부위가 서늘해 지고 오한(갑자기 몸에 열이 나면서 추위를 느끼는 증세)이 심하며 열이 나면서 잘 놀라고 마치 헛 것이 보이는 것 같은 증상이 있습니다.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열결列缺)과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합곡合谷)에 침을 놓아 치료합니다.

 

심(心)에 학질이 생기면, 심장이 심하게 답답하여 시원한 물을 찾는 반면, 추위를 많이 타고 열은 심하지 않습니다.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 신문神門)에 침을 놓아 치료합니다.

 

간(肝)에 학질이 생기면, 안색이 푸르스름 해지고 숨을 크게 몰아 쉬면서 그 모습이 마치 죽은 사람 같습니다.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중봉中封)에 침을 놓아 피를 내어 치료합니다.

 

비(脾)에 학질이 생기면, 추위를 타게 되면 배가 아프다가 열이 나면 배속에서 꾸룩꾸룩 소리가 나는데 소리가 거치면 땀이 나게 됩니다.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상구商丘)에 침을 놓아 치료합니다.

 

신(腎)에 학질이 생기면, 찬기운으로 몸이 오싹오싹해지고 허리와 등줄기가 당겨서 움직이면 아픕니다. 또한, 대변이 잘 나오지 않으눈앞이 어질어질 하고 손발이 차갑습니다.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대종大鐘)과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위중委中)에 침을 놓아 치료합니다.

 

위(胃)에 학질이 생기면, 병에 걸리기 전부터 배고파 하지만 음식을 잘 먹지 못하고 음식을 먹으면 배가 더부룩하게 불러 소화가 잘 되지 않습니다.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여태厲兌와 해계解谿)과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의 횡맥(橫脈, 상구商丘)에 침을 놓아 피를 내어 치료합니다.

 

학질이 발작하여 몸에서 막 열이 나려고 하면 발 등의 동맥(動脈)에 침을 놓아 그 혈자리를 열어서 피를 내면 바로 몸이 서늘해집니다. 학질에 걸려 오한(寒)이 나려고 하면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과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과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에 침을 놓습니다.

 

학질의 맥(脈)그득하게 차 있고 크고 급하게 뛰면, 등 뒤에 있는 수혈(兪穴, 침 혈자리를 일반적으로 이르는 말)에 침을 놓는데 중간 크기의 침을 이용하여 오거수(伍胠兪, 족태양방광경의 2선에 있는 BL42백호혈魄戶穴, BL44신당혈神堂穴, BL47혼문혈魂門穴, BL49의사혈意舍穴, BL52지실혈志室穴을 말하는 것으로 1선에 있는 수혈에서 피를 내면 정기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출혈은 2선에서 한다고 함)에도 각각 한번씩 침을 놓아 살찐 체질과 마른 체질을 구분하여 적절히 맺힌 피를 빼냅니다.

 

학질의 맥(脈)이 작고 실하면서 급하게 뛰면, 다리의 소음경(足少陰腎經)에 뜸을 뜨고 지정(指井, 족태음방광경의 BL67지음혈至陰穴)에 침을 놓습니다.

 

학질의 맥(脈)이 그득하게 차 있고 크고 급하게 나타나면, 등 뒤에 있는 수혈에 침을 놓는데 오거수(伍胠兪)등의 수혈(兪穴)에 각각 1번씩 침을 놓아 적절하게 피를 내어 치료를 합니다.

 

학질의 맥(脈)이 느리고 크지만 허약하게 나타나면, 마땅히 약을 사용해야 하지 침을 사용하여서는 안됩니다.

 

무릇 학질을 치료함에 있어 우선 발작하기 30여 분전(如食頃이라고 하였는데 1식경이 밥먹는 시간 정도를 말하니 30분정도로 보면 됨)에 치료를 하여야 하며 그 시기를 놓치게 되면 때를 잃어 치료를 할 수 없게 됩니다.

 

모든 학질에 있어 그 맥이 드러나지 않으면, 십지간(十指間, 손가락 끝에 있는 정혈井穴을 10곳을 말함)에 침을 놓아 피를 내야 하는데 나쁜 피가 제거되면 반드시 낫습니다. 침을 놓기 전에 우선 손 끝을 잘 살펴 팥알처럼 붉은 반점에 침을 놓아 피를 다 빼야 합니다.

 

지금까지 설명한 열두가지 학질은 각각 그 발작하는 시기가 다르니 병의 형태를 잘 살펴서 어떤 경맥의 병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발작하는 때의 한식경 정도(如食頃, 30여분)전에 침을 놓아야 하는데, 한번 침을 놓으면 병이 쇠약해지고 두번 침을 놓으면 병이 호전되는 것을 알게 되고 세번 침을 놓으면 병이 낫게 됩니다. 만약 병이 낫지 않으면 혓바닥 아래의 양맥(脈, 임맥任脈의 염천廉泉을 말함)에 침을 놓아 피를 빼내어 치료하고, 그래도 병이 낫지 않으면 극중(郄中, 족태양방광경의 위중혈委中穴을 말함)의 왕성한 경락에 침을 놓아 피를 내어 치료하거나 목덜미 뒤 아래 등줄기를 낀 곳(독맥의 대추大椎와 족태양방광경의 풍문風門을 말함)에 침을 놓으면 반드시 병이 낫습니다. 혓바닥 아래의 양맥이란 염천을 말합니다.

 

학질을 치료하려면 반드시 먼저 병이 어디에서 발작한 지를 물어서 침을 먼저 놓아야 합니다. 학질에 걸려 머리가 아프고 무거운 사람은 먼저 머리 윗부분, 양쪽 이마 및 양쪽 미간에 침을 놓아 피를 내고, 뒷목과 등이 아픈 사람은 우선 통증이 있는 부분에 침을 놓습니다. 허리와 등마루가 아픈 사람은 우선 극중(郄中, 위중혈委中穴)에 침을 놓아 피를 내고, 손과 팔이 아픈 사람은 수소음심경(소충少衝)과 수양명대장경(상양商陽), 십지간(十指間, 손가락 끝에 있는 정혈井穴을 10곳을 말함)에 침을 놓아 치료하며, 다리가 저리고 아픈 사람은 족양명위경(여태厲兌)와 십지간(十指間, 손가락 끝에 있는 정혈井穴을 10곳을 말함)에 침을 놓아 피를 내어 치료합니다.

 

풍학(風瘧)은 학질이 발생하면 땀이 나고 바람을 싫어하는데, 족삼양경(足三陽經, 족양명위경/족태양방광경/족소양담경)의 배수(背兪)에 침을 놓아 피를 빼고, 정강이뼈가 시리고 심하게 아파 누르지 못할 정도가 되는 것을 이름하여 부수병(腑髓病, 골수가 깊이 부어서 생기는 병)이라고 하는데, 참침(鑱鍼, 길이 1.6치의 침으로 끝이 예리하고 화살 끝 모양으로 생긴 것으로 피부를 얕게 찔러 피를 뽑는 용도로 쓰는데 지금은 사용하지 않고 있음)으로 절골혈(絶骨穴, 족소양담경의 양보혈陽輔穴 근처로 추정됨)에 침을 놓아 피를 내면 곧 낫습니다. 몸이 조금 아프면 지음혈(至陰穴)에 침을 놓는데, 모든 음경락의 정혈(井穴)은 피를 내지 않아야 하며 하루 걸러 한번씩 침을 놓아야 합니다. 학질에 걸렸는데 목이 마르지 않고 하루걸러 발작을 하면 족태양경에 침을 놓고, 목이 마르면서 하루 걸러 발작을 하면 족소양경에 침을 놓습니다. 온학(溫瘧, 35편 학론 참조)에 땀이 나지 않으면 오십구자(五十九刺, 주요 59개의 혈자리를 침으로 열병을 치료함)을 사용합니다.

刺瘧篇 第三十

 

第一章

足太陽之瘧, 令人腰痛頭重, 寒從背起, 先寒後熱, 熇熇暍暍然,

熱止汗出, 難已, 刺郄中出血.

足少陽之瘧, 令人身體解㑊, 寒不甚, 熱不甚, 惡見人, 見人心惕惕然,

熱多汗出甚, 刺足少陽.

足陽明之瘧, 令人先寒洒淅洒淅, 寒甚久乃熱,

熱去汗出, 喜見日月光火氣, 乃快然, 刺足陽明跗上.

足太陰之瘧, 令人不樂, 好大息, 不嗜食,

多寒熱汗出, 病至則善嘔, 嘔已乃衰, 卽取之.

足少陰之瘧, 令人嘔吐甚, 多寒熱, 熱多寒少,

欲閉戶牖而處, 其病難已.

足厥陰之瘧, 令人腰痛少腹滿, 小便不利, 如 狀, 非 也, 數便,

意恐懼氣不足, 腹中悒悒, 刺足厥陰.

 

第二章

肺瘧者, 令人心寒, 寒甚熱, 熱間善驚如有所見者, 刺手太陰陽明.

心瘧者, 令人煩心甚, 欲得淸水, 反寒多, 不甚熱, 刺手少陰.

肝瘧者, 令人色蒼蒼然, 太息, 其狀若死者, 刺足厥陰見血.

脾瘧者, 令人寒, 腹中痛. 熱則腸中鳴, 鳴已汗出, 刺足太陰.

腎瘧者, 令人洒洒寒, 腰脊痛宛轉, 大便難, 目眴眴然, 手足寒, 刺足太陽少陰.

胃瘧者, 令人且病也, 善飢而不能食, 食而支滿腹大, 刺足陽明太陰橫脈出血.

 

第三章

 

第一節

瘧發身方熱, 刺跗上動脈, 開其空出其血, 立寒.

瘧方欲寒, 刺手陽明太陰, 足陽明太陰.

 

第二節

瘧脈滿大急, 刺背兪, 用中鍼傍五胠兪各一, 適肥瘦, 出其血也.

瘧脈小實急, 灸脛少陰, 刺指井.

瘧脈滿大急, 刺背兪, 用五胠兪背兪各一, 適行至於血也.

瘧脈緩大虛, 便宜用藥, 不宜用鍼.

凡治瘧, 先發如食頃, 乃可以治, 過之則失時也.

諸瘧而脈不見, 刺十指閒出血, 血去必已.

先視身之赤如小豆者, 盡取之.

 

第三節

十二瘧者, 其發各不同時,

察其病形, 以知其何脈之病也.

先其發時, 如食頃而刺之, 一刺則衰, 二刺則知, 三刺則已,

不已, 刺舌下兩脈出血; 不已, 刺郄中盛經出血, 又刺項已下俠脊者, 必已.

舌下兩脈者, 廉泉也.

 

第四章

刺瘧者, 必先問其病之所先發者, 先刺之.

先頭痛及重者, 先刺頭上及兩額兩眉閒出血,

先項背痛者, 先刺之.

先腰脊痛者, 先刺郄中出血,

先手臂痛者, 先刺手少陰陽明十指閒,

先足脛痠痛者, 先刺足陽明十指閒出血.

風瘧, 瘧發則汗出惡風, 刺三陽經背兪之血者,

䯒痠痛甚按之不可, 名曰胕髓病, 以鑱鍼, 鍼絶骨出血, 立已.

身體小痛, 刺至陰.

諸陰之井無出血, 間日一刺.

瘧不渴, 閒日而作, 刺足太陽;

渴而閒日作, 刺足少陽.

溫瘧汗不出, 爲五十九刺.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