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평(評)이란 자세히 설명한다(평가한다)는 뜻으로 열병(熱病)의 종류와 증상, 치료법에 대하여 자세히 묻고 답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황제가 물어 말씀하시길, 온병(溫病, 열이 비교적 가벼우면 온병 심하면 열병이라고 함)이 있는 사람은 보통 땀을 흘리고 나면 열이 가라앉으며 낫는데, 열이 다시 오르면 맥박이 빨라지고 땀을 내도 병이 낫지 않으며, 헛소리를 하면서 밥을 먹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어떤 병입니까? 기백이 대답하여 말하길, 그 병의 이름은 음양교(陰陽交)라고 하며, 이 병에 걸린 사람은 죽습니다. 황제가 묻길, 더 자세한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기백이 대답하길, 사람이 활동을 하면 땀을 나는데 그 땀은 모두 정기(精氣)로부터 나오며 정기(精氣)는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생기는 것입니다. 그런데, 몸 속에서 정기(精氣)와 나쁜 기운(邪氣)이 서로 다투어서 땀이 난 후에 나쁜 기운이 물러가고 정기(精氣)가 이기면 당연히 식사를 다시 할 수 있게 되고 열이 나는 것이 멈춥니다. 그러나, 열(熱)이 다시 나는 것은 나쁜 기운(邪氣)이 계속 머물러 있는 것이고 땀이 나는 것은 정기(精氣)로 인한 것이므로 지금 땀이 나면서 열(熱)이 다시 나는 것은 나쁜 기운(邪氣)이 정기(精氣)를 이김으로 인한 것입니다.

 

식사를 하지 못하는 것정기(精氣)가 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이며, 이로써 병이 계속 머물게 되면 수명이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무릇 “열론(熱論)”에 이르길 “땀이 나고서도 오히려 맥이 거칠고 빨라지면 환자는 죽는다.”라고 했습니다. 지금 이런 맥이 땀이 나는 것과는 서로 상응하지 않는 상태이며, 이것은 병을 이기기 못한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러면 죽는 것이 명확한 것입니다. 헛소리를 하는 것은 살려는 의지(志)를 잃어 버렸기 때문이며 의지를 잃어 버리면 죽게 됩니다. 이렇게 세가지를 보았는데 이 중 한가지라도 해당이 되면 사망하게 됩니다. 비록 병이 낫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결국 반드시 죽게 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몸에 열병이 있는데 땀을 흘려도 낫지 않고 가슴이 번거롭고 답답한 경우가 있는데, 가슴이 번거롭고 답답한 것이 땀을 흘려도 해결되지 않는 것은 어떤 병입니까? 기백이 대답합니다. 땀을 내고도 몸에 열이 나는 것은 몸에 들어온 나쁜 바람 때문이고, 땀을 흘리고도 가슴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병이 낫지 않는 것은 몸의 기(氣)가 너무 차서(궐, 厥) 그런 것이고, 그 병명을 풍궐(風厥)이라고 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다시 좀 더 자세히 듣고 싶습니다. 기백이 대답합니다. 태양경락(太陽經絡, 원문에는 거양巨陽/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은 사람의 양기(陽氣)를 주관하는데, 나쁜 기운이 들어오게 되면 제일 먼저 공격을 하게 됩니다. 소음경락(少陰經絡,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과는 표리관계를 이루고 있어서 태양경락에 나쁜 바람의 기운이 들어와서 공격을 받으면 몸에 열과 땀이 나고 몸의 표면에 약해지며, 이때 소음경락에 침투한 나쁜 기운이 거꾸로 위로 치솟아 태양경락으로 흘러 들어가면 하체가 차가워지고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그 치료법은 어떠한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표리(족태양방광경과 족소음신경)에 침을 놓고 적절한 탕액을 마시게 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노풍(勞風, 몸이 과로한 상태에서 몸에 냉기가 들어가서 생기는 병)은 어떠한 병인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노풍(勞風)은 폐(肺)의 아래에서 머물러 증상이 나타나는데, 병이 걸린 사람은 뒷목이 뻣뻣해지고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며, 침이 콧물처럼 흘러내리고, 바람을 쐬는 것을 싫어하여 추위에 덜덜 떨게 됩니다. 몸을 과도하게 움직여 허약해 졌는데 나쁜 바람의 기운이 몸에 침입하여 병을 일으킨 것으로 이를 이르러 노풍(勞風)이라고 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그 치료법은 어떠한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호흡요법과 침술을 이용하여 치료합니다. (以救俛仰) [ 면앙俛仰 = 부앙俯仰 : 하늘을 우러러보고 아래를 굽어본다는 뜻인데, 무슨 뜻인지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네요… 해석은 다른 번역 책들을 참조하여 적당한 말을 적용하였습니다. ] 젊어서 양기(陽氣, 원본에는 거양巨陽)가 정기(精氣)를 끌어 들일 수 있는 사람은 3일, 중년의 사람은 5일, 정기(精氣)가 부족한 사람은 7일이 지나면 기침이 나오면서 푸르스름하고 누런 콧물을 흘리니 그 형상이 마치 고름과 같고 크기는 청심환만 하여 입 이나 코로 나옵니다. 만약 나오지 않으면 폐를 손상시키는데, 폐가 손상되면 죽게 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신풍(腎風, 신장에 냉기가 들어가서 생기는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안면이 붓고 기도가 좁아져서 말을 하기도 어렵게 되는데, 침을 놓아 치료할 수 있는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신장의 기능이 허약해서 생겼으므로 당연히 침을 놓을 수 없습니다. 침을 놓지 말아야 하는데 침을 놓으면 5일 후에 찬 기운이 신장에까지 이르게 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됩니까? 기백이 대답합니다. 찬 기운이 신장에 들어가게 되면 반드시 기운이 떨어지고 열이 나는데, 그 열이 가슴과 등을 따라 위로 올라가 머리까지 이릅니다. 열이 나고 손이 화끈거리고 입이 마르고 목이 말라 괴로워하며, 소변이 누렇게 되고 눈 아래가 부으며, 배 속에서 소리가 나고 몸이 무거워 잘 걷지 못합니다. 또한, 여자의 경우 월경이 나오지 않고 가슴이 답답하여 밥을 먹을 수 없으며 똑바로 누우면 기침을 해서 똑바로 누울 수 없습니다. 이 병을 풍수(風水)라고 하며, 그 설명은 『침법(刺法)』에 나와 있습니다. 황제가 말하길, 그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기백이 대답합니다. 나쁜 기운이 모인 곳에는 그 기운이 반드시 허약한데, 음기(陰氣)가 허약하면 반드시 병든 양기(陽氣)가 모여드니 기운이 빠지고 때로는 열이 나면서 땀을 흘리게 됩니다. 오줌이 누런 것은 아랫배에 열이 있기 때문이고, 똑바로 눕지 못하는 것은 위(胃)에 물이 차서 조화롭지 못하기 때문이며, 똑바로 누웠는데 기침이 심한 것은 나쁜 기운이 위(上)로 올라가 폐를 압박하기 때문입니다. 여러 가지 수기(水氣)로 인하여 병이 발생한 환자는 미세한 부종(浮腫, 조직 내에 림프액이나 조직의 액체가 고여 과잉 존재하는 상태)이 눈 아래에 먼저 나타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무슨 말인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수기(水氣)는 음(陰)이고 눈 밑도 역시 음(陰)입니다. 배는 음기(陰氣)가 모이는 곳이니 수기(水氣)가 배에 있는 환자는 반드시 눈 밑이 붓습니다. 수기(水氣)가 고장 나서 심장의 열을 다스리지 못하면 환자는 입안이 마르고 쓴맛이 올라오며 똑바로 눕지 못하는 것은 똑바로 누우면 기침이 심해지고 맑고 묽은 가래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러 가지 수기(水氣)로 인하여 병이 발생한 환자는 똑바로 눕지 못하는데, 누우면 깜짝 깜짝 놀라고 놀라면 기침이 더 심해집니다. 배 속에서 물이 차서 움직이는 것처럼 꾸룩 꾸룩 소리가 나는 것은 위(胃)가 그 원인입니다. 수기(水氣)가 병이 들어 비(脾)를 압박하면 가슴이 답답해져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데,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은 위(胃)가 소화를 시키지 못하고 막혀서 밑으로 내려가지 못하여 그런 것입니다. 몸이 무거워져 잘 걷지 못하는 것은 위(胃)의 맥이 발(족양명위경, 足陽明胃經)에 있기 때문이며,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은 포맥(胞脈, 자궁과 연결된 경맥으로서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막혀 있기 때문입니다. 포맥은 심(心)에 속하고 자궁에 연결되어 있으니, 지금 나쁜 기운이 위로 올라가 폐를 압박하게 되면 심(心)이 아래로 통하지 못하게 되어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 황제가 말합니다. 좋습니다.

逆調論篇 第三十四

 

第一章

 

第一節

黃帝問曰 人身非常溫也, 非常熱也, 爲之熱而煩滿者, 何也?

歧伯對曰 陰氣少而陽氣勝, 故熱而煩滿也.

 

第二節

帝曰 人身非衣寒也, 中非有寒氣也, 寒從中生者何?

歧伯曰 是人, 多痺氣也, 陽氣少, 陰氣多, 故身寒如從水中出.

 

 

第二章

 

第一節

帝曰 人有四支熱, 逢風寒, 如炙如火者, 何也?

歧伯曰 是人者, 陰氣虛, 陽氣盛,

四支者陽也, 兩陽相得而陰氣虛少,

少水不能滅盛火, 而陽獨治, 獨治者不能生長也, 獨勝而止耳.

“逢風而如炙如火”者, 是人當肉爍也.

 

第二節

帝曰 人有身寒, 湯火不能熱, 厚衣不能溫, 然不凍慄, 是爲何病?

歧伯曰 是人者, 素腎氣勝, 以水爲事,

太陽氣衰, 腎脂枯不長, 一水不能勝兩火.

腎者水也, 而生於骨, 腎不生, 則髓不能滿, 故寒甚至骨也.

所以“不能凍慄”者, 肝一陽也, 心二陽也, 腎孤藏也,

一水不能勝二火, 故不能凍慄, 病名曰骨痺, 是人當攣節也.

 

 

第三章

帝曰 人之肉苛者, 雖近衣絮, 猶尙苛也, 是謂何疾?

歧伯曰 榮氣虛, 衛氣實也.

榮氣虛則不仁; 衛氣虛則不用, 榮衛俱虛, 則不仁且不用, 肉如故也.

人身與志不相有, 曰死.

 

 

第四章

帝曰 人有逆氣, 不得臥而息有音者,

有不得臥而息無音者,

有起居如故而息有音者,

有得臥, 行而喘者,

有不得臥, 不能行而喘者,

有不得臥, 臥而喘者, 皆何藏使然? 願聞其故.

歧伯曰 “不得臥而息有音”者, 是陽明之逆也.

足三陽者下行, 今逆而上行, 故“息有音”也.

陽明者, 胃脈也, 胃者六府之海, 其氣亦下行, 陽明逆不得從其道, 故“不得臥”也.

≪下經≫曰 “胃不和則臥不安”, 此之謂也.

夫“起居如故而息有音”者, 此肺之絡脈逆也.

絡脈不得隨經上下, 故留經而不行, 絡脈之病人也微, 故“起居如故而息有音”也.

夫“不得臥, 臥則喘”者, 是水氣之客也.

夫水者, 循津液而流也, 腎者水藏, 主津液, 主臥與喘也.

帝曰 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