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장육부(五臟六腑)의 음양(陰陽), 허실(虛實), 한열(寒熱)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생기는 병적인 증상을 역조(逆調)라고 하며 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사람의 몸이 항상 따뜻한 것도 아니고 열이 쌓여 있는 것이 아닌데도 일단 열이 나면 가슴이 답답하고 번거러운 것은 어떤 이유인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음기(陰氣)가 적어서 양기(陽氣)가 항상 음기(陰氣)를 이기기 때문에 열이 나면 가습이 답답하고 번거럽게 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사람이 옷을 춥게 입고 있거나 몸 속에 찬 기운이 있는 것도 아닌데 찬기운이 몸 속에서부터 생기는 것은 어떤 이유인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이것은 몸에 비기(痺氣, 음기가 많아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저리는 증상)가 많아서 그런 것입니다. 양기(陽氣)가 적고 음기(陰氣)가 많아서 몸이 찬 것이 마치 물 속에서 막 나온 것 같습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사람의 사지에 열이 있고 풍한(風寒, 나쁜 바람이 몸에 침입하여 열이 나고 추위를 타는 증상)이 들면 지지듯이 타는 듯한 것은 왜 그런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이 사람은 음기(陰氣)가 부족하고 양기(陽氣)는 왕성해서 그렇습니다. 사지는 양(陽)에 속하고 팔 다리의 두 양(陽)이 서로 도와 음기(陰氣)가 더 부족해 집니다. 적은 양의 물로는 왕성한 큰 불을 끌 수는 없는 것과 같습니다. 이로서 양(陽)이 홀로 그 사람의 몸을 다스리니 홀로 다스린다는 것은 음기(陰氣)가 양기(陽氣)와 서로 상응하며 음(陰)을 생겨나고 자라게 하는 것을 할 수 없고 오직 양(陽)이 음(陰)을 이기는 것에만 그칩니다. 그래서, 찬 바람을 맞았는데 불구하고 지지듯이 타는 듯하여 몸의 살이 녹아서 바싹 마르게 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어떤 사람의 몸이 차가워서 타오르는 불로도 열이 나게 하지 못하고 두터운 옷을 입어도 따뜻하게 할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몸이 얼거나 떨지 않는 것은 무슨 병인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이런 사람은 본래 신기(腎氣)가 왕성해서 수(水)로써 몸을 다스리려 합니다. 그러나, 소음경락(족소음신경, 足少陰腎經)이 왕성하여 태양경락(족태양방광경, 足太陽膀胱經)의 기(氣)가 약해지면 신지(腎脂, 골수骨髓 물질을 가리키는 말)가 말라서 자라지 못하니 이것은 하나의 수(水)가 두 개의 화(火)를 이기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신(腎)은 수(水)에 속하고 뼈를 만들어 주니 신(腎)이 만들어 주지 못하면 뼈에 골수(骨髓)가 가득 차지 못하여 찬 바람이 불면 심하면 뼈 속까지 미치게 됩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몸이 얼거나 떨지 않는 것은 간(肝)은 일양(一陽)이고 심(心)은 이양(二陽)인데 신(腎)은 태양경락의 쇠퇴로 홀로 고립되어 있으니 하나의 수(水)가 2개의 화(火)를 이길 수 없어서 몸이 얼거나 떨게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 병의 이름은 골비(骨痺)라고 하며(뼈에 양기가 순환하지 못하여 생기는 병), 이 사람은 마땅히 뼈마디가 뒤틀리게 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몸이 무겁고 나른하여 아픈 사람이 비록 솜옷이 닿아도 묵직하게 느끼는 것은 무슨 병인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이것은 영기(營氣, 맥관 내에서 혈액과 같이 움직이면서 온 몸에 영양을 공급하는 기운)가 허약하고 위기(衛氣, 맥관의 외부를 운행하면서 체표를 보호하고 장부 등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기운)는 충실하기 때문입니다. 영기(營氣)가 허약하면 피부와 살에 영양을 공급하지 못하여 무감각 해지고, 위기(衛氣)가 허약하면 팔다리가 차가워져 팔다리를 움직이는 것이 불편 해집니다. 영위(營衛)가 다 허약하면 자각마비와 운동마비가 동시에 일어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은 빠지지 않고 예전처럼 계속 유지를 하는 것은 육체와 정신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며, 이러면 죽게 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사람의 기(氣)가 거꾸로 흘러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숨을 쉴 때 소리가 나는 사람이 있고, 눕지는 못하지만 숨쉴 때 소리가 나지는 않는 자가 있으며, 일상생활은 예전과 다름없이 편안하지만 숨을 쉴 때 소리가 나는 사람이 있고, 누울 수 있으면서 걸을 수도 있지만 호흡이 거칠어지는 사람도 있으며, 눕지도 못하고 걸으면 숨이 차는 사람이 있고, 눕지 못하여 눕기만 하면 숨이 거칠어지는 사람이 있으니 이는 어떤 장부가 어떻게 되어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그 사유를 알고 싶습니다. 기백이 대답합니다. 괴로워서 눕지 못하고 숨쉴 때 소리가 나는 사람은 양명경락(陽明經絡,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이 거꾸로 돌기 때문입니다. 족삼양(足三陽, 족양명위경/족소양담경/족태양방광경)의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이 정상인데 이제 거슬러 올라 위로 올라 가기 때문에 숨을 쉴 때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양명경락(陽明經絡)위(胃)의 맥이며 위(胃)는 육부(六府)의 바다(海, 음식물이 모두 위로 들어오기 때문임)이니 그 기(氣)가 아래로 향하는 것이 정상인데, 양명이 거꾸로 흘러 자연의 도리를 따르지 못한다면 눕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하경 – 의학서적 중 하나』에서 이르길, 위(胃)가 안정적이지 못하면 누워도 편안하지 못하다고 하였으니 이를 말하는 것입니다. 무릇 일상 생활은 정상으로 하지만 숨을 쉴 때 소리가 나는 사람은 폐(肺)의 락맥(脈)이 거꾸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락맥(絡脈)은 경맥(經脈)을 따라 위 아래로 움직이지 못하니 경맥(經脈)에 머물러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낙맥(絡脈)은 병을 일으키는데 영향이 미약하므로 일상 생활은 예전과 같이 할 수 있으나 숨을 쉴 때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무릇 눕지 못하고 누우면 숨이 차는 사람은 수기(水氣)가 침입한 것입니다. 수(水)라고 하는 것은 몸의 진액(津液)을 따라 흐르는 것이며, 신(腎)은 수(水)의 장기이고 진액을 주관하니 눕지 못하는 것과 숨이 찬 것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황제가 말씀하시길, 좋습니다.

 

逆調論篇 第三十四

 

第一章

 

第一節

黃帝問曰 人身非常溫也, 非常熱也, 爲之熱而煩滿者, 何也?

歧伯對曰 陰氣少而陽氣勝, 故熱而煩滿也.

 

第二節

帝曰 人身非衣寒也, 中非有寒氣也, 寒從中生者何?

歧伯曰 是人, 多痺氣也, 陽氣少, 陰氣多, 故身寒如從水中出.

 

 

第二章

 

第一節

帝曰 人有四支熱, 逢風寒, 如炙如火者, 何也?

歧伯曰 是人者, 陰氣虛, 陽氣盛,

四支者陽也, 兩陽相得而陰氣虛少,

少水不能滅盛火, 而陽獨治, 獨治者不能生長也, 獨勝而止耳.

“逢風而如炙如火”者, 是人當肉爍也.

 

第二節

帝曰 人有身寒, 湯火不能熱, 厚衣不能溫, 然不凍慄, 是爲何病?

歧伯曰 是人者, 素腎氣勝, 以水爲事,

太陽氣衰, 腎脂枯不長, 一水不能勝兩火.

腎者水也, 而生於骨, 腎不生, 則髓不能滿, 故寒甚至骨也.

所以“不能凍慄”者, 肝一陽也, 心二陽也, 腎孤藏也,

一水不能勝二火, 故不能凍慄, 病名曰骨痺, 是人當攣節也.

 

 

第三章

帝曰 人之肉苛者, 雖近衣絮, 猶尙苛也, 是謂何疾?

歧伯曰 榮氣虛, 衛氣實也.

榮氣虛則不仁; 衛氣虛則不用, 榮衛俱虛, 則不仁且不用, 肉如故也.

人身與志不相有, 曰死.

 

 

第四章

帝曰 人有逆氣, 不得臥而息有音者,

有不得臥而息無音者,

有起居如故而息有音者,

有得臥, 行而喘者,

有不得臥, 不能行而喘者,

有不得臥, 臥而喘者, 皆何藏使然? 願聞其故.

歧伯曰 “不得臥而息有音”者, 是陽明之逆也.

足三陽者下行, 今逆而上行, 故“息有音”也.

陽明者, 胃脈也, 胃者六府之海, 其氣亦下行, 陽明逆不得從其道, 故“不得臥”也.

≪下經≫曰 “胃不和則臥不安”, 此之謂也.

夫“起居如故而息有音”者, 此肺之絡脈逆也.

絡脈不得隨經上下, 故留經而不行, 絡脈之病人也微, 故“起居如故而息有音”也.

夫“不得臥, 臥則喘”者, 是水氣之客也.

夫水者, 循津液而流也, 腎者水藏, 主津液, 主臥與喘也.

帝曰 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