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동양천문사상 하늘의 역사(김일권), 음양오행으로 가는 길(전창선, 어윤형), 역으로 보는 동양천문 이야기(강진원), 고대 중국인이 바라본 하늘의 세계(이문규, 절판/국회도서관에 있음), Sina LiB 정리 동양철학의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은 천문(天文)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모든 이론의 뿌리는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오행론(五行論)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그 근원이 되어 서양에서는 점성술 등으로 발전하였고, 동양에서는 오행론이 음양론(陰陽論, 주역 등)과 어울려 여러 가지 동양 철학의 발전을 가져오게 된 것입니다. 고대인들이 하늘을 관찰해 보니, 가장 크게 보이는 7개의 별과 행성이 하늘판과는 다르게 별도의 움직임(行)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것은 “황도와 일월오성..
출처; 동양천문사상 하늘의 역사(김일권), 음양오행으로 가는길(전창선, 어윤형), 태양계의 모든 것(Newton Highlight) 동양천문도의 별자리(신辰, Constellation)에 있는 별(성星, Star)들과 일월오성(日月五星)은 약간 다른 특성이 있습니다. 그 특성과 황도를 지나는 행성(行星)들의 움직임(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태양(日)은 다른 별들과 동일한 성질이지만, 동양천문도에서는 하늘에 붙어 있는 별들(항성恒星, Fixed Star)과는 달리 행성(行星, Planet)들과 같이 “황도”를 따라 움직이는 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모든 별들과 행성은 우주에서 각자의 법칙에 따라 돌고 있기 때문에 모두 움직인다고 말할 수 있지만, 태양계 내에 있는 별(즉, 태양)과 행성을 제외한 우주..
출처; 동태적 인사명리(오상도), 태을수의 이론과 적용에 관한 연구(윤명국) 등 동양천문도에 대한 이해를 시작하기 전에 동양에서 우주를 다루는 천문학과 역법을 이용한최고의 비법을 알아보기로 합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아직 공부가 부족하여 잘 모르지만, 잘 모르는 상태에서 앞으로의 방향을 찾기 위해서 역사와 주요 예측분야에 대하여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기을임삼수(奇乙壬三數, 일명 삼식三式)이라 불리는 세가지 술수(태을수, 기문둔갑, 육임)는 국가의 정책에 따라 특수 계층과 그들과 인맥이 닿았던 사람에게만 비밀리에 전수되었습니다. 다행히 최근 이런 이론들이 알려지면서 대학에서 연구도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세가지 모두 상수학(象數學, 수리학數理學)으로 태을수는 천문(天文), 기문둔갑은 지리(地理), 육임..
출처; 음양오행으로 가는길(전창선, 어윤형), 동양천문이야기(강진원), 우리별자리(안상현), 인터넷 등 요즘은 망원경을 우주에 쏘아 올려서 사진을 찍어 받아볼 수도 있고, 3차원으로 볼 수 있는 앱(Application)이 나와서, 종이에 그린 천문지도는 그 활용성이 떨어진다고 볼 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옛 선조들이 하늘을 보면서 생각했던 여러 가지 철학을 이해할 겸 천문도를 보는 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우주가 지구와 같은 구(球)라고 가정하면 [그림1]과 같이 천구(天球)의 북극과 남극, 적도 그리고 태양의 길인 황도, 별 등을 그릴 수 있습니다. 서양의 천문도는 메르카토르 투영도법(Mercator Projection)을 주로 이용하여 원통 속에 지구를 집어 넣고 지구 속에서 전등을 켰을 경..
출처; 별자리와 우주(Newton Highlight), 우리별자리(안상현), 동양천문이야기(강진원), Sina LiB 정리 밤하늘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서울에서 남쪽을 향해 보면 달과 별들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시계 방향) 움직이고 있습니다. 즉, 동쪽에서 떠서 남쪽으로 치우쳐서 서쪽으로 지고 있습니다. 북쪽 하늘을 보면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늘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별 볼일 없으신 분들! 밤 하늘의 별을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과학시간에 배웠듯이 지구가 자전을 하면서 태양 주변을 공전을 하니 땅이 돈다고 할 수 있겠지만, 사실은 태양도 우리 은하의 중심 주위를 돌고 있고, 우리 은하도 어디를 중심으로 돌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니 하늘도 땅도 돌고 있습니다. 우리 은하..
출처; 거의 모든 것의 역사(빌 브라이슨), 우주의 형상과 역사(Newton Highlight), 위키백과 지구는 아무리 먼 곳도 비행기를 타고 하루 정도면 도착할 수 있다. 둘레가 대략 45,000km이니 시속 1,000km만 날아도 지구 반대편에 갈 수 있는 것이다. 태양에서 지구까지 거리는? 149,597,871 km이다.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것보다 3,500배 더 멀다. 시속 1,000km 비행기를 타고 간다면 17년이 걸리는 거리이다.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 149,597,871 km를 천문단위로 1 Au라고 하는데, 그러면 태양에서 각 행성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행성의 지위를 잃은 명왕성 Pluto까지는 40 Au) 시속 1,000km 비행기로 해왕성까지 간다면 약 500년 걸리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알리바바
- 카카오
- 투자전략
- 우선협상자
- 자율주행
- 정부정책
- LG그룹
- 자산매각
- 산업현황
- 두산인프라코어
- CJ대한통운
- 인수합병
- 사업구조조정
- 육친론
- 사업부매각
- SK텔레콤
- 파산보호신청
- 구조조정
- 당뇨병
- 배달의민족
- 네이버
- 쌍용자동차
- 마이크로소프트
- 요기요
- 천간합
- 이마트
- 기업가치
- 한앤컴퍼니
- SK하이닉스
- 황제내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