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경험을 통해 물상론(物象論)을 논해야 하건만, 얄팍한 지식으로 현명한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리는 것은 아닌지 두려움도 있습니다. 일단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여기서 살펴보고, 좀 더 많은 경험을 한 후 다시 평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철학이나 과학에서 이 우주에서 생명의 뿌리가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동양철학에서는 그 시작을 임수(壬水)로 보았습니다. 즉,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의 오행(五行)이 태극(太極)이라는 우주만물의 생명 속에서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지만, 그 시작은 임수(壬水)에서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수리적으로 선천수 중 처음인 1을 임수(壬水)라고 한 것입니다. 서양에서도 탈레스(Thales, Θαλής 기원전 6세기경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는 만물의 근원을..
우리는 천문이야기를 통하여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에 대한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 인사명리(人事命理)와의 관계도 정리한 바 있습니다. 이제 천간(天干)의 글자들이 의미하는 내용에 대하여 하나씩 살펴 보려고 합니다. 다만, 음양오행론을 통하여 익히 알고 있는 천간(天干)의 겉모습(本體) 보다는 그 작용(作用)에 대한 내용에 중점을 두려고 합니다. 천간(天干)은 지지(地支)에 비하여 양(陽)에 속하지만, 그 속도 음양오행(陰陽五行)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즉, 천간(天干)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적이고 작용(作用)의 세계이고 지지(地支)는 우리 눈에 보이는 형체(形體)의 세계이지만, 천간(天干)도 우리가 보거나 느낄 수 있는 양(陽)의 세계가 있고 보이지 않게 작용을 하는 음(陰..
- Total
- Today
- Yesterday
- 두산인프라코어
- SK하이닉스
- 인수합병
- 산업현황
- 당뇨병
- SK텔레콤
- 한앤컴퍼니
- 쌍용자동차
- 기업가치
- 사업구조조정
- 알리바바
- 천간합
- CJ대한통운
- 구조조정
- 네이버
- 배달의민족
- 사업부매각
- 자산매각
- 정부정책
- 투자전략
- 이마트
- 우선협상자
- 카카오
- 황제내경
- 육친론
- 마이크로소프트
- 요기요
- LG그룹
- 파산보호신청
- 자율주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