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는 천문이야기를 통하여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에 대한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 인사명리(人事命理)와의 관계도 정리한 바 있습니다. 이제 천간(天干)의 글자들이 의미하는 내용에 대하여 하나씩 살펴 보려고 합니다. 다만, 음양오행론을 통하여 익히 알고 있는 천간(天干)의 겉모습(本體) 보다는 그 작용(作用)에 대한 내용에 중점을 두려고 합니다.

 

천간(天干)은 지지(地支)에 비하여 양(陽)에 속하지만, 그 속도 음양오행(陰陽五行)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즉, 천간(天干)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적이고 작용(作用)의 세계이고 지지(地支)는 우리 눈에 보이는 형체(形體)의 세계이지만, 천간(天干)도 우리가 보거나 느낄 수 있는 양(陽)의 세계가 있고 보이지 않게 작용을 하는 음(陰)의 세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음양오행(陰陽五行)이 별개로 존재하거나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태극에서 같이 존재하고 작용한다는 것을 알아야 전체 흐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천간(天干) 1 갑(甲), 2 을(乙), 3 병(丙), 4 정(丁), 5 무(戊), 6 기(己), 7 경(庚), 8 신(辛), 9 임(壬), 10 계(癸) 열 글자를 오행의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우리는 그동안 익히 공부해 왔습니다. 이는 오행의 상생(相生) 순서대로 음양을 구분한 것으로 음양오행 본체(本體)의 특징에 중점(하도河圖의 원리)을 둔 분석이었고, 여기에서는 낙서(書)의 원리인 작용(作用)에 중점을 두고 분석해 보겠습니다.

우리 인간도 자연현상 중의 하나에 불과하다는 점을 안다면, 우리 세상에서 보고 느낄 수 있는 자연현상을 보고 천간(天干)의 글자에 대한 해석도 가능합니다. 사주팔자에서는 천간의 글자가 4개가 있지만 그 중 일간(日干)의 글자가 그 사람의 성격을 많이 좌우하게 되는데, 천간의 본체의 특징은 그 사람의 겉모습을 나타내고 작용의 특징은 행동양식으로 나타나므로 그 내용을 음미해 보시기 바랍니다.

본체면에서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을 양(陽)으로 을(乙), 정(丁), 기(己), 신(辛), 계(癸)를 음(陰)으로 분류하지만, 작용면에서는 을(乙), 병(丙), 무(戊), 경(庚), 계(癸)를 눈에 보이거나 느낄 수 있는 작용인 양(陽)으로 갑(甲), 정(丁), 기(己), 신(辛), 임(壬)를 눈에 보이지 않거나 잘 느낄 수 없는 작용인 음(陰)으로 분류합니다.

 

 

작용면의 천간을 자연현상에 비추어 그림과 같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생명의 원천인 물(1 임壬)열(2 정丁)을 가하면 생명이 탄생할 수 있는 힘(3 갑甲)이 생겨 바깥 세상으로 나오게 됩니다. 세상 밖으로 나온 생명체(8 을乙)는 태양의 빛(7 병丙)물 또는 피(6 계癸)을 받아서 자라고 시간이 지나면 결실이나 새끼(9 경庚)를 얻게 됩니다. 각 생물체들은 자기 세대는 끝나지만 결실이나 새끼를 통해 만들어진 씨종자/유전자(4 신辛)를 통하여 종자 또는 종족을 번식해 나갑니다. 양(陽)의 세계를 다스리고 조정하는 역할은 5 무(戊)가 하고 음(陰)의 세계를 다스리고 조정하는 역할은 10 기(己)가 합니다. 정리하면, 낙서의 숫자 중 선천수(先天數, 1~5)로 분류되는 천간인 임(壬), 정(丁), 갑(甲), 신(辛)은 눈에 보이지 않는 작용인 음(陰)으로 분류하고, 후천수(後天數, 6~10)로 분류되는 천간인 계(癸), 병(丙), 을(乙), 경(庚)은 작용이 나타나 보이는 양(陽)으로 분류합니다. 다만, 5의 무(戊)와 10의 기(己)는 선천수 후천수로 음양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서 정확한 의미를 아직까지 파악하지 못하였습니다. 좀 더 공부해서 결론을 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까지 조금 부족하지만, 이해되는 한도내에서 앞으로 주역의 낙서(작용면) 순서대로 천간의 글자를 하나씩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