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출처; 동의보감 내경편(內景篇) 몽(夢)
명절 제사는 잘 지내셨나요? 사람이 죽으면 혼(魂)은 우주(하늘)의 에너지로 돌아가고 백(魄)은 육체에 남아 땅의 물질로 돌아갑니다. 수련을 많이 한 도사들은 백(魄)을 가지고 하늘로 간다고 합니다. 혼백(魂魄)을 같이 들고 가면 다시 태어날 때 전생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진 백(魄)을 가지고 있어서 전생의 기억을 해낸다고 합니다. 믿거나 말거나…… 죽은 사람의 혼백(魂魄)을 불러오기 위해 향을 피워 혼(魂)을 깨워서 나타나게 하고 술을 땅(집에서는 잔)에 부어 백(魄)이 형상을 가지게 합니다. 이런 혼백을 불러오는 절차가 강신(降神)이라고 합니다. 이후에 다른 형식적인 절차가 있긴 하지만 불러온 조상님을 자기의 분수에 맞게 정성을 다한 음식을 드시게 하는 것이 제사(祭祀)입니다. 형식보다 마음이 중요하겠지요……
오늘은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오는 꿈과 잠에 관한 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꿈이란 모두 혼백(魂魄)이 사물에 작용하여 꾸는 것입니다. 『醫方類聚의방유취』에 의하면 “몸(形)이 사물과 부딪히면 일이 생기고, 신(神)이 사물과 마주치면 꿈을 꾼다.”라고 하였습니다. (정기신精氣神 참고 자료: https://blog.naver.com/sonwbsy/220355120866) 예전에 진인(眞人, https://blog.naver.com/sonwbsy/220314236574)은 잠을 잘 때 꿈을 꾸지 않았는데, 이는 신(神)이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醫學入門의학입문』에 의하면 “심(心)이 너무 튼튼(實)하면 근심하거나 놀라거나 괴상하는 꿈을 꾸는데, 심(心)이 허약(虛)하면 혼백이 들떠서 어지럽게 꿈을 많이 꾸게 된다.”라고 합니다. 나쁜 기운이 침범하여 혼백이 불안해지는 것은 혈기(血氣)가 적기 때문이고, 혈기가 적은 것은 심(心)에 속하여 두려움이 많아져서 눈을 감고 자려고 하면 멀리 떠나는 꿈을 꾸며 정신(精神)이 흩어지고 혼백(魂魄)이 제멋대로 돌아다니게 됩니다. 음기(陰氣)가 쇠약하면 전증(癲症, 정신이상)이 되고, 양기(陽氣)가 쇠약하면 광증(狂症)이 됩니다.
간기(肝氣)가 허약하면 꿈에 버섯이나 싱싱한 풀이 보이며, 너무 튼튼하면 나무 아래에 엎드려 일어나지 못하는 꿈을 꿉니다. 심기(心氣)가 허약하면 꿈에서 불을 끄거나 양(陽)적인 동물이나 사물이 보이고 너무 튼튼하면 불타는 꿈을 꾸게 됩니다. 비기(脾氣)가 허약하면 음식이 부족한 꿈을 꾸고, 너무 튼튼하면 담장을 쌓고 지붕을 덮는 꿈을 꿉니다. 폐기(肺氣)가 허약하면 꿈에 흰 것이 보이거나 사람이 베어져서 피가 흥건한 것이 보이고, 너무 튼튼하면 병사들이 싸우는 것이 보입니다. 신기(腎氣)가 허약하면 배가 보이거나 물에 빠진 사람이 보이고, 너무 튼튼하면 물에 빠지는 것이 두렵고 무서워하는 꿈을 꾸게 됩니다.
동한시대의 정현은 “입과 코로 숨을 쉬는 것은 혼(魂)의 작용이고, 귀가 잘 들리고 눈이 잘 보이는 것은 백(魄)의 작용이다. 입과 코는 튀어나와 있으니 양(陽)이고 귀와 눈은 들어가 있으니 음(陰)이며, 입코귀눈이 겉에 있으니 양(陽)이고 장부(臟腑)는 안에 있어 음(陰)이다. 양기(陽氣)가 몸의 겉(陽)을 25번 돌면 입코귀눈이 모두 양기를 받아서 지각하고 보고 듣고 움직여서 깨어 있을 수 있으며, 양기(陽氣)가 장부 속(陰)을 25번 돌면 입코귀눈이 모두 양기를 받지 못하여 감각작용을 얻지 못하고 잠들게 된다. 그러하니 듣고 보는 것이 어찌 양기의 작용이 아니겠는가?”라고 하였습니다. 『醫學入門의학입문』
상한(傷寒, 외부에서 나쁜 기운이 들어와 열이 나는 병)이나 잡병(雜病)으로 잠을 많이 자는 것은 양(陽)이 허약하고 음(陰)이 왕성하기 때문이고,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음(陰)이 허약하고 양(陽)이 왕성하기 때문입니다. 밝은 곳을 좋아하는 것은 양증(陽症)에 속하여 원기가 왕성한 것이고,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것은 음증(陰症)에 속하여 원기가 허약한 것입니다. 벽을 향하여 자는 것은 음증(陰症)으로 원기가 허약한 것이고 밖을 향하여 자는 것은 양증(陽症)으로 원기가 왕성한 것입니다.
사람이 누워 자면 혈(血)은 간(肝)으로 돌아갑니다. 그런데, 혈(血)이 안정되지 못하면 누워 자려고 하여도 혈(血)이 간(肝)으로 돌아가지 못하므로 가슴이 두근거려 잠을 자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잠을 잘 때는 옆으로 누워서 무릎을 구부리고 자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면 심기(心氣)를 도와줍니다. 깨어 있을 대는 몸을 펴고 있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면 정신이 산만하지 않습니다. 대개 몸을 반듯하게 뻗고 잠을 자면 나쁜 기운을 불러들이게 되는데, 공자(孔子)가 “나는 죽은 사람처럼 똑바로 누워서 자지 않는다.”라는 것은 이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活人心활인심』
낮잠을 자면 기운이 빠지기 때문에 낮잠을 자면 안됩니다. 밤에 잘 때는 항상 입을 다물고 자야 하는데, 입을 벌리고 자면 기운이 빠지고 나쁜 기운이 입으로 들어와 병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무릎을 구부리고 옆으로 누워서 자는 것은 기력을 도와주는데, 바로 눕는 것보다 낫습니다. 『世醫得效方세의득효방』
잠을 잘 때 등불을 켜 놓으면 사람의 신(神)이 편안하지 못합니다. 『活人心활인심』 사람이 잠을 잘 때 똑바로 누워서 자는 것은 좋지 않은데, 손으로 가슴을 덮으면 반드시 가위 눌리어 잘 깨어나지 못합니다. 어두운 곳에서 가위 눌렸을 때는 불로 비추지 말아야 하고, 가까이 다가가서 급하게 부르지 말아야 하며, 가슴 위의 손을 잡아 내려준 다음 천천히 불러서 깨워야 합니다. 『千金方천금방』
'의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과 스트레스 (0) | 2020.12.13 |
---|---|
당뇨병 – 저혈당 (0) | 2020.11.29 |
당뇨병 – 당뇨유발 행동과 예방관리 (0) | 2020.11.08 |
당뇨병 - 진단기준 (0) | 2020.10.18 |
당뇨병 – 인슐린의 역할과 저항성 (0) | 2020.09.27 |
- Total
- Today
- Yesterday
- LG그룹
- 알리바바
- 네이버
- 산업현황
- SK텔레콤
- 구조조정
- 당뇨병
- 한앤컴퍼니
- 인수합병
- 정부정책
- 파산보호신청
- 마이크로소프트
- 쌍용자동차
- 두산인프라코어
- 천간합
- 육친론
- 자산매각
- 이마트
- SK하이닉스
- 배달의민족
- 우선협상자
- 자율주행
- 카카오
- 황제내경
- 사업구조조정
- 투자전략
- CJ대한통운
- 기업가치
- 요기요
- 사업부매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