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체에서 3음3양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경락에 대한 지식이 좀 있어야 이해가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황제가 말하길, 내가 들으니 하늘은 양, 땅은 음, 태양은 양, 달은 음에 속한다고 합니다. 매월도 대소(음양)가 있고, 360일이 합쳐져 1년이 됩니다. 사람의 경우도 이와 상응합니다. 그런데, 이 삼음삼양이 음양의 법칙과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데, 그 이유가 무엇입니까? 인체의 위를 양, 아래를 음으로 보는데 인체의 위에도 음 경락이 흐르고 아래에도 양 경락이 흐르는 것을 비추어 물어보는 말입니다.
기백이 대답합니다. 음양이라는 것은 그 수를 10개이든, 1,000개이든, 10,000개이든, 10,000개보다 많은 수든, 수로 나누는 것은 이루 다 말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음양이 나눌 수 없는 하나라는 것입니다. 편의상 나눈 것뿐 이라는 것입니다.
하늘은 만물을 덮고, 땅은 만물을 싣고 있으며, 만물은 여기서(음양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입니다. 만물이 아직 생겨나지 않은 상태를 음에 머물러 있다고 말하는데 이를 일컬어 음 중의 음이라고 합니다. 이제 막 생겨난 것을 일컬어 음 중의 양이라고 합니다. 씨앗이 싹이 트기 전의 상태를 음 중의 음이라고 한다면 씨앗의 껍질을 뚫고 나오는 것을 음 중의 양이라고 한다는 것입니다.
陽予之正, 陰爲之主.양은 만물에 생명을 불어넣어주고, 음은 만물의 모양을 만들어 줍니다. 그러므로, 봄에 태어남이 이루어지고, 여름에 자라게 되며, 가을에는 거두어 들이고, 겨울에는 저장을 하게 됩니다. 만약 이러한 4계절의 전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천지만물의 4가지(음양에서 분화된) 기능이 막혀버립니다. 이렇게 음양의 변화가 인체에도 적용이 되는데, 나눌 수 있는 수도 역시 한없이 많이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경락과 그 흐름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초보자로서 알기 어려운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오장육부와 경락”편에서 보았듯이 인체에는 12경락이 서로 상호관계를 가지고 있으면서 음양이 순차적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아래의 황제와 기백과의 대화는 다리 쪽으로 흐르고 있는 부분만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초보자는 위(손)와 아래(발), 안쪽과 바깥쪽, 음과 양이 번갈아 가며 우리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고, 양 중에서도 음, 음 중에서도 양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만 알고 넘어가면 되겠습니다.
황제가 (삼음)삼양이 흩어지고 합쳐지는 것이 무엇인지를 묻습니다. 기백이 대답합니다. 사람이 남쪽을 향해 서 있으면 앞쪽을 광명(廣明), 뒤쪽을 가리켜 태충(太衝)이라고 하고, 태충의 아래를 소음(少陰)이라고 합니다. 소음의 위를 “태양(太陽)”이라고 하고, 태양 경락(족태양방광경 足太陽膀胱經)은 새끼 발가락 끝의 지음(至陰) 혈에서 시작하여 얼굴의 정명(睛明, 황제내경에서는 명문命門이라고 하였는데 동일하다고 함)에서 끝납니다. 이를 음 중의 양이라고 합니다. 인체의 윗부분을 광명이라고 하고 그 아래를 태음이라고 합니다. 태음의 앞쪽을 “양명(陽明)”이라고 하고, 양명 경락(족양명위경 足陽明胃經)은 두번째 발가락 끝의 여태(厲兌) 혈에서 시작하며, 이것도 음 중의 양이라고 합니다. 궐음의 바깥쪽은 “소양(少陽)”이라고 하고, 소양 경락 (족소양담경 足少陽膽經)은 네번째 발가락 끝의 규음(竅陰) 혈에서 시작하며 음 중의 소양이라고 합니다.
이 삼양(三陽)이 서로 흩어지고 합쳐지는 원리는 태양(太陽)이 이를 열어주고, 양명(陽明)이 안에서 밖으로 흩어져 버리지 못하게 잡아주며, 소양(少陽)이 중간에서 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해 주고 있습니다. 이 세 가지의 양(陽)이 서로 충돌하여 역할을 상실하지 않고, 양으로서 외부로 완전히 발산해 버리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전부 합쳐서 하나의 양(陽)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황제가 삼음에 대하여 묻습니다. 기백이 대답하길, 바깥쪽을 양이라고 하고, 안쪽을 음이라고 하는데 속에 있는 것도 음이라고 합니다. 충맥의 아래를 “태음(太陰)”이라고 하는데, 태음 경락(족태음비경 足太陰脾經)은 엄지 발가락 끝의 은백(隱白) 혈에서 시작이 되며, 음 중의 음이라고 합니다. 태음의 뒷부분을 “소음(少陰)”이라고 하는데, 소음 경락(족소음신경 足少陰腎經)은 발바닥의 용천(涌泉) 혈에서 시작되며 음 중의 소음이라고 합니다. 소음의 앞쪽은 “궐음(厥陰)”이라고 하는데, 궐음 경락(족궐음담경 足厥陰膽經)은 엄지 발가락의 대돈(大敦) 혈에서 시작되며, 양이 전혀 없는 음 중에서 음이 끝나는 곳이라고 합니다.
이 삼음(三陰)이 서로 흩어지고 합쳐지는 원리는 태음(太陰)이 제일 바깥쪽에서 음기가 침체되지 않도록 발산하여 열어주고, 궐음(厥陰)은 안에서 음을 저장하도록 끌어안고 있으며, 소양(少陽)이 중간에서 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해 주고 있습니다. 이 세 가지의 음(陰)이 서로 충돌하여 역할을 상실하지 않고, 음으로서 너무 침체되어 없어져 버리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전부 합쳐서 하나의 음(陰)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陰陽雩重雩重, 積傳爲一周, 氣裏形表而爲相成也. 이렇게 음양의 기운이 서로 왕래하면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 음양의 기가 인체를 끊임없이 돌아다니면서 안으로는 몸을 만들고 밖으로는 기를 순환시켜 음양이 조화가 이루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음양의 조화이며 안팎의 상호관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陰陽離合論篇 第六
第一章
黃帝問曰 余聞天爲陽, 地爲陰, 日爲陽, 月爲陰, 大小月三百六十日成一歲, 人亦應之.
今三陰三陽, 不應陰陽, 其故何也?
歧伯對曰 陰陽者, 數之可十, 推之可百, 數之可千, 推之可萬, 萬之大不可勝數, 然其要一也.
天覆地載, 萬物方生, 未出地者, 命曰陰處, 名曰陰中之陰;
則出地者, 命曰陰中之陽.
陽予之正, 陰爲之主.
故生因春, 長因夏, 收因秋, 藏因冬, 失常則天地四塞.
陰陽之變, 其在人者, 亦數之可數.
第二章
帝曰 願聞三陰三陽之離合也.
歧伯曰 聖人南面而立, 前曰廣明, 後曰太衝,
太衝之地, 名曰少陰,
少陰之上, 名曰太陽, 太陽根起於至陰, 結於命門, 名曰陰中之陽.
中身而上, 名曰廣明,
廣明之下, 名曰太陰,
太陰之前, 名曰陽明, 陽明根起於厲兌, 名曰陰中之陽.
厥陰之表, 名曰少陽, 少陽根起於竅陰, 名曰陰中之少陽.
是故三陽之離合也, 太陽爲開, 陽明爲闔, 少陽爲樞.
三經者, 不得相失也, 搏而勿浮, 命曰一陽.
第三章
帝曰 願聞三陰.
歧伯曰 外者爲陽, 內者爲陰, 然則中爲陰,
其衝在下, 名曰太陰, 太陰根起於隱白, 名曰陰中之陰.
太陰之後, 名曰少陰, 少陰根起於涌泉, 名曰陰中之少陰.
少陰之前, 名曰厥陰, 厥陰根起於大敦, 陰之絶陽, 名曰陰之絶陰.
是故三陰之離合也, 太陰爲開, 厥陰爲闔, 少陰爲樞.
三經者, 不得相失也, 搏而勿沈, 名曰一陰.
陰陽[雩重][雩重], 積傳爲一周, 氣裏形表而爲相成也.
'의학이야기 > 황제내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제내경 소문 제8편 영란비전론(靈蘭秘典論) (0) | 2020.07.12 |
---|---|
황제내경 소문 제7편 음양별론(陰陽別論) (0) | 2020.07.12 |
황제내경 소문 제5편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 (0) | 2020.06.30 |
황제내경 소문 제4편 금궤진언론(金匱眞言論) (0) | 2020.06.27 |
황제내경 소문 제3편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 (0) | 2020.06.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카카오
- 사업부매각
- 네이버
- 이마트
- 구조조정
- 배달의민족
- 사업구조조정
- 한앤컴퍼니
- 황제내경
- 정부정책
- 육친론
- 자율주행
- 두산인프라코어
- 인수합병
- LG그룹
- SK하이닉스
- 요기요
- 투자전략
- 산업현황
- 자산매각
- 우선협상자
- 알리바바
- 마이크로소프트
- SK텔레콤
- CJ대한통운
- 쌍용자동차
- 파산보호신청
- 당뇨병
- 기업가치
- 천간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