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일본 정부혼다(Honda)닛산(Nissan)`일본 자동차 챔피언 회사’를 만들자고 제안했다면서 두 회사가 합병 계획을 즉각 거부한 데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덮쳐 이 사안은 흐지부지됐다고 보도하였습니다. FT 는 정부 주도의 합병안이 거절된 이유로 닛산-르노-미쓰비시지분 관계가 너무 복잡해서 자칫 법적 분쟁으로 번질 가능성, 닛산과 혼다가 합병을 통해 얻을 비용 절감 효과가 크지 않고 사업구조와 비즈니스 모델이 매우 다른 점, 양사가 향후 개발에 중점을 두는 분야도 상이한 점을 거론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닛산·르노 동맹이 2018년 카를로스 곤 회장 체포 이후 붕괴하면서 8개의 자동차 회사가 있는 일본 자동차산업 전체에 영향이 미칠 것을 우려해왔습니다. 일본의 자동차산업은 GDP의 3.3%밖에 차지 하지 않지만, 취업인구의 8.2%를 고용하고 있고 전체 수출액의 20.5%를 차지하고 있어 중요한 산업입니다. 따라서, 혼다와 닛산간 합병론은 상황 변화에 따라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전기자동차(EV) 부문에서 세계적인 기술을 보유한 닛산을 해외자본에 넘겨줄 수 없다는 일본 정부와 르노로부터 경영 독립을 유지하려는 닛산의 이해관계는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닛산의 독자생존 가능성도 점점 낮아지고 있어 일본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는데, 지난해 6,712억엔(약 7.5조원)의 적자를 낸 닛산은 올해도 6,700억엔의 손실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FT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이 비용 증가와 기술 개발 때문에 몸집을 키워야 할 필요에 직면해 있다며 푸조(PSA)와 피아트(FCA)간 합병, 포드(Ford)와 폭스바겐(Volkswagen)간 동맹체결을 그 예로 들었습니다. 닛산이 르노와의 관계를 청산하고 혼다와 닛산이 합병하면 글로벌 1, 2위를 다투는 폭스바겐(Volkswagen)과 토요타(Toyota)와 견줄 수 있는 규모가 됩니다.

 

 

한편, 일본 정부가 일본 2~3위 자동차 회사인 닛산과 혼다 합병을 제안한 것은 프랑스 정부의 닛산 인수를 사전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일본 정부가 '자국 자동차 산업 보호'에 촉각을 세우게 된 계기는 프랑스 정부의 노골적인 접근입니다. 르노(Renault) 지분 15%를 보유한 프랑스 정부는 2014년 주식을 2년 이상 보유한 주주에게는 의결권을 두 배로 주는 ‘프로랑쥬법’을 제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닛산의 지분 43%를 보유한 최대주주인 르노의 실질 의결권을 30%로 늘린 프랑스 정부는 이후 자국산업의 보호·육성을 명분으로 르노의 일본 연합사인 닛산을 영향력 하에 두려는 시도를 계속해 왔기 때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