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각각의 경락(經絡)별로 일어나는 허리통증의 증상과 침 치료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황제의 질문이 없이 기백의 설명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원문에 정확한 혈자리를 말하지 않아 관련 자료를 찾느라 시간이 많이 걸렸네요. 혹시 정확한 혈자리가 아닐 수 있으니 실습은 반드시 전문 한의사와 상의해서 시행하시기 바랍니다.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의 맥(脈)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뒷목에서 척추 아래로 내려와 엉덩이 끝까지 당기 듯하여 마치 등에 무거운 짐을 메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 때는 그 극중(郄中)인 족태양방광경(太陽正經)의 위중혈(委中穴)에 침을 놓아 피를 내어야 하는데, 봄에는 피를 보아서는 안됩니다.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맥(脈)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마치 침으로 피부 속을 찌르는 듯하여 천천히 허리를 아래로 굽히거나 위로 펼 수가 없고 고개를 돌릴 수 없습니다. 이 때는 족소양담경(少陽)의 성골(成骨)의 끝(양릉천혈陽陵泉穴을 말함)에 침을 놓아 피를 내어야 합니다. 성골은 무릎의 바깥쪽에 홀로 솟아 있는 뼈이며, 여름에는 피를 보아서는 안됩니다.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의 맥(脈)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고개를 돌릴 수 없고 만약 고개를 억지로 돌리면 뭔가가 있는 것 같으며(현기증이 있다는 해석도 있음), 슬픔에 잘 빠지게 됩니다. 이 때는 족양명위경(陽明)의 정강이뼈의 앞쪽에 있는 족삼리혈(足三里穴)에 세 번의 침을 놓고 상거허혈(上巨虛穴)과 하거허혈(下巨虛穴)을 조화롭게 하여 피를 내어야 하지만, 가을에는 피를 보아서는 안됩니다.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의 맥(脈)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척추의 안쪽이 당기는 통증이 일어납니다. 이 때는 족소음신경(少陰)의 발목 안쪽의 위에 있는 부류혈(復溜穴)에 두 번의 침을 놓아야 하는데, 봄에는 피를 보아서는 안되고 피를 너무 많이 흘리게 되면 회복하지 못하게 됩니다.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의 맥(脈)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허리 안쪽이 활(이나 뇌쇠) 시위가 팽팽하게 긴장되어 있는 상태처럼 불룩하게 부어 있습니다. 이 때는 궐음경의 맥에 침을 놓는데, 장딴지와 발꿈치 부근 볼록한 부분의 바깥쪽에 있는 여구혈(劙溝穴)을 손으로 만져보아 울퉁불퉁한 알갱이가 만져지면(循之累累然) 여기에 침을 놓습니다. 원래 말이 많던 사람이 병을 얻어서 묵묵하게 말 수가 적어지고 지혜롭지 못하게 되면 여기에 침을 3번 놓습니다.
허리 아래에 있는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의 맥(脈, 원문 해맥(解脈))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허리가 끊어질 듯이 아프고 두려움에 떱니다. 이 때는 해맥(=족태양방광경)에 침을 놓는데, 극중(郄中, 위양혈委陽穴로 추정, 위중혈 바로 옆)에 기장의 쌀알(黍米) 같은 것이 만져지면 침을 놓아 피를 내는데, 처음에는 검붉은 피가 솟아 나오다가 붉은색이 보이면 피를 내는 것을 그칩니다.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과 연결된 낙맥(絡脈)인 동음지맥(同陰之脈, 족소양(足少陽)의 별락(別絡)이라 함)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마치 작은 망치 같은 것이 허리 속에 있는 것 같아 묵직한 통증이 있으며 욱신거리고 부어올라 종기가 납니다. 이 때는 족소양담경인 동음지맥에 침을 놓는데, 다리 바깥쪽의 복사뼈 위에 있는 절골(絶骨, 바깥쪽 다리 복사뼈 가장 최고점에서 손가락 4마디 위)의 끄트머리에 있는 양보혈(陽輔穴)에 3번 침을 놓습니다.
양유맥(陽維脈, 기경팔맥(奇經八脈, 임맥 독맥 충맥 대맥 음교맥 양교맥 음유맥 양유맥)의 하나)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통증 부위의 위쪽이 욱신거리고 붓습니다. 이 때는 양유맥에 침을 놓는데, 족태양방광경과 만나는 곳인 장딴지 아래쪽의 틈인 승산혈(承山穴)이며 땅에서 거리가 1척(尺, 약30cm)의 거리에 있습니다.
대맥(帶脈, 원문에는 형락지맥(衡絡之脈)이라고 되어 있는데, 기경팔맥 중 하나인 대맥을 말함. 형(衡)은 가로라는 뜻인데 대맥이 허리를 가로 둘러 있기 때문임)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허리를 앞으로 숙이거나 뒤로 젖힐 수 없으며, 뒤로 젖히면 뒤집힐까 두려워합니다. 이는 무거운 것을 들다가 허리를 다쳐 대맥(帶脈, 원문에는 형락衡絡)이 끊어지고 나쁜 피가 몰려서 얻은 병입니다. 이 때는 족태양방광경의 두 곳에 침을 놓는데, 극양(郄陽, 위양혈委陽穴)의 근육 틈에 침을 놓고, 여기서 위 쪽으로 수치(數寸, 1치寸는 약3.03cm로 옆의 그림에서 8치(14-6) 정도 임, 1치寸의 10배가 1척尺) 떨어진 곳인 형거(衡居, 은문혈殷門穴로 추정)에 2번 침을 놓아 피를 냅니다.
임맥(任脈, 원문에는 회음지맥(會陰之脈)이라고 되어 있는데, 기경팔맥 중 하나인 임맥을 말함)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아픈 부위 위로 땀을 줄줄 흘리게 되고, 땀이 마르면 물을 마시고 싶어하며, 물을 마시고 나면 초조하고 불안해서 왔다 갔다 다니고 싶어 합니다. 이 때는 직양지맥(直陽之脈, 족태양방광경에서 족소양담경 쪽으로 뻗어 나가는 족태양방광경의 가지)의 위에 3번 침을 놓는데, 교맥(蹻, 양교맥 음교맥을 말하는 것으로 보임)의 위쪽에 있고 극(郄, 위양혈委陽穴로 추정)의 아래로 5치(寸, 약15cm) 떨어진 곳인 횡거(橫居, 승근혈承筋穴 또는 승산혈承山穴 추정, 승근혈로 해석하는 곳이 있는데 위양혈에서 15cm 아래이면 승산혈의 위치인 것 같음)에 그 성한 곳을 눈으로 찾아 피를 냅니다.
비양지맥(飛陽之脈, 족태양방광경의 다른 말, 위에 족태양방광경에 대한 여러가지가 있는데 여기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네요….)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통증 부위가 욱신욱신 거리고 붓는데, 심하면 우울해지고 공포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 때는 비양혈(飛陽穴, 원문 비양지맥)과 안쪽 복사뼈의 위로 5치(寸) 떨어진 곳인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의 앞쪽으로 음유맥(陰維脈)과 만나는 곳인 축빈혈(築賓穴)에 침을 놓습니다.
창양지맥(昌陽之脈, 음교맥陰蹻脈의 다른 말)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가슴이 당기고 아픈데 눈이 아물아물 거리고 심하면 허리를 제대로 굽히거나 펴질 못하며 혀가 말려들어가 말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이 때는 내근(內筋, 복사뼈 안쪽에 있는 근육을 뜻하는 것 같은데 족소음신경의 교신혈交信穴으로 추정됨)에 2번의 침을 놓는데, 복사뼈 안쪽 위의 큰 근육 앞에 있고, 태음(太陰, 족태음비경이 엄지 새끼발가락에서 복사뼈 앞쪽으로 지나감) 뒤 복사뼈의 위로 2치(寸)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산맥(散脈,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의 별도의 낙맥絡脈)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통증이 있으면서 열이 나는데, 열이 심해지면 가슴이 달아오르면서 답답하고 조급해지며, 허리 아래에 마치 부러진 나무가 가로로 들어 있는 것 같아 콕콕 찔러서 심하면 오줌을 지릴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는 산맥에 침을 놓는데, 무릎 앞의 뼈와 살의 사이에 있는 곳이며, 낙맥 밖의 속맥(束脈, 지기혈地機穴에 해당하며 정맥이 피부에 노출되어 푸르게 보이는 근육 부위를 말함)에 닿아 있는 곳에 3번 침을 놓습니다.
육리지맥(肉裏之脈,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에 속하는 양보혈陽輔穴의 다른 이름)이 문제가 생겨 사람에게 허리통증을 일으키게 되면, 기침을 할 수 없으며 기침을 하게 되면 근육이 긴장하여 수축하게 됩니다. 이 때는 육리지맥에 침을 2번 놓는데, 그곳은 족태양방광경이 흐르는 곳의 바깥쪽이고 족소양담경이 지나는 갈라진 뼈(絶骨)의 뒤에 있는 양보혈(陽輔穴, 위의 족소양담경의 그림 참조) 입니다.
허리통증이 있으면서 척추를 따라 머리까지 올라가서 당기고 뻣뻣해지면서 눈 앞이 어질어질하여 엎어져서 누워있고 싶어하면, 족태양방광경의 위중혈(원문:郄中)에 피을 내어 치료를 합니다.
허리통증이 있으면서 추위에 떨게 되면, 족태양방광경과 족양명위경에 침을 놓고, 몸에 열이 나면 족궐음간경에 침을 놓습니다. 허리통증이 있으면서 몸을 구부리거나 뒤로 젖히지 못하면 족소양담경에 침을 놓고, 몸 안에 열이 나면서 숨이 차서 헐떡이면 족소음신경에 침을 놓으며 동시에 위중혈(원문:郄中)에 피를 냅니다.
허리통증이 있으면서 추위에 떨고 목을 좌우로 돌리지 못하면 족양명위경에 침을 놓고, 몸에 열이 나면 족태음비경에 침을 놓으며, 몸 안에 열이 나면서 숨이 차서 헐떡이면 족소음신경에 침을 놓습니다. 대변을 보기 어려우면 족소음신경에 침을 놓고, 아랫배가 차오르면 족궐음간경에 침을 놓습니다. 만약 허리가 끊어질 듯이 아프면서 허리를 구부리지도 펴지도 못하고 물건을 들지 못하면 족태양방광경에 침을 놓고, 척추의 안쪽을 당기면 족소음긴경에 침을 놓습니다.
허리통증이 있으면서 아랫배와 옆구리가 당겨서 허리를 구부리지도 뒤로 젖히지도 못하게 되면, 허리와 엉덩이의 밑바닥인 꽁무니가 교차하는 곳과 양쪽 넓적다리뼈(대퇴골)의 족태양방광경이 흐르는 곳에 침을 놓습니다. 침을 놓을 때는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참고하여 침 놓는 회수를 조정하며(달이 차면 침 횟수를 늘리고 달이 기울면 침 회수를 줄여야 함), 침을 뽑으면 곧 낫게 됩니다. 또한,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에 침을 놓고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에 침을 놓습니다.
刺腰痛篇 第四十一
第一章
足太陽脈, 令人腰痛, 引項脊尻背如重狀; 刺其郄中, 太陽正經出血, 春無見血.
少陽令人腰痛, 如以鍼刺其皮中, 循循然不可以俛仰, 不可以顧;
刺少陽成骨之端出血, 成骨在膝外廉之骨獨起者, 夏無見血.
陽明令人腰痛, 不可以顧, 顧如有見者, 善悲;
刺陽明於䯒前三痏, 上下和之出血, 秋無見血.
足少陰令人腰痛, 痛引脊內廉; 刺小陰於內踝上二痏, 春無見血, 出血太多, 不可復也.
厥陰之脈, 令人腰痛, 腰中如張弓弩弦;
刺厥陰之脈, 在腨踵魚腹之外, 循之累累然, 乃刺之,
其病令人善言, 黙黙然不慧, 刺之三痏.
解脈令人腰痛, 痛引肩, 目䀮䀮然, 時遺溲;
刺解脈, 在膝筋肉分閒, 郄外廉之橫脈出血, 血變而止.
解脈令人腰痛如引帶, 常如折腰狀, 善恐;
刺解脈, 在郄中結絡如黍米, 刺之血射以黑, 見赤血而已.
同陰之脈, 令人腰痛, 痛如小錘居其中, 怫然腫;
刺同陰之脈, 在外踝上絶骨之端, 爲三痏.
陽維之脈, 令人腰痛, 痛上怫然腫;
刺陽維之脈, 脈與太陽合腨下間, 去地一尺所.
衡絡之脈, 令人腰痛, 不可以俛仰, 仰則恐仆, 得之擧重傷腰, 衡絡絶, 惡血歸之;
刺之在郄陽筋之間, 上郄數寸, 衡居爲二痏出血.
會陰之脈, 令人腰痛, 痛上漯漯然汗出, 汗乾令人欲飮, 飮已欲走;
刺直陽之脈上三痏, 在蹻上郄下五寸橫居, 視其盛者出血.
飛陽之脈, 令人腰痛, 痛上怫怫然, 甚則悲以恐;
刺飛陽之脈, 在內踝上五寸, 少陰之前, 與陰維之會.
昌陽之脈, 令人腰痛, 痛引膺, 目䀮䀮然, 甚則反折, 舌卷不能言;
刺內筋爲二痏, 在內踝上大筋前, 太陰後上踝二寸所.
散脈, 令人腰痛而熱, 熱甚生煩, 腰下如有橫木居其中, 甚則遺溲;
刺散脈, 在膝前骨肉分間, 絡外廉束脈爲三痏.
肉裏之脈, 令人腰痛, 不可以欬, 欬則筋縮急;
刺肉裏之脈爲二痏, 在太陽之外, 少陽絶骨之後.
第二章
腰痛俠脊而痛至頭几几然, 目䀮䀮欲僵仆, 刺足太陽郄中出血.
腰痛上寒, 刺足太陽陽明; 上熱, 刺足厥陰.
不可以俛仰, 刺足少陽.
中熱而喘, 刺足少陰, 刺郄中出血.
腰痛上寒不可顧, 刺足陽明; 上熱, 刺足太陰; 中熱而喘, 刺足少陰.
大便難, 刺足少陰.
少腹滿, 刺足厥陰.
如折不可以俛仰, 不可擧, 刺足太陽.
引脊內廉, 刺足少陰.
腰痛引少腹控䏚, 不可以仰,
刺腰尻交者, 兩髁胂上, 以月生死爲痏數, 發鍼立已, 左取右, 右取左.
'의학이야기 > 황제내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제내경 소문 제43편 비론(痺論) (0) | 2021.03.28 |
---|---|
황제내경 소문 제42편 풍론(風論) (0) | 2021.03.28 |
황제내경 소문 제40편 복중론(腹中論) (0) | 2021.03.14 |
황제내경 소문 제39편 거통론(擧痛論) (0) | 2021.03.14 |
황제내경 소문 제38편 해론(欬論) (0) | 2021.03.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네이버
- SK텔레콤
- 구조조정
- 두산인프라코어
- LG그룹
- 투자전략
- 쌍용자동차
- 산업현황
- 파산보호신청
- 한앤컴퍼니
- 당뇨병
- SK하이닉스
- 사업부매각
- 사업구조조정
- 배달의민족
- 알리바바
- 마이크로소프트
- 자산매각
- 요기요
- 천간합
- 우선협상자
- 황제내경
- 자율주행
- 카카오
- 이마트
- 육친론
- 인수합병
- CJ대한통운
- 기업가치
- 정부정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