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나쁜 바람이 사람의 몸 속에 침입하여 발생하는 병의 종류와 나타나는 증상 및 진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나쁜 바람이 사람을 손상시키는데, 추위를 느끼고 열이 나는 것이 반복되거나(寒熱), 열사병에 걸리거나(熱中), 한기가 들어 몸이 뻣뻣해지고 땀은 나지 않거나(寒中), 기혈이 손상되어 피부에 헌데가 생기는 문둥병에 걸리거나(癘風), 한쪽 팔다리를 쓰지 못하거나(偏枯), 뇌졸중으로 쓰러지는(風病) 경우가 있습니다. 그 병들은 이름도 다르고 그 원인이나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오장육부에까지 이르기도 하는데, 왜 그렇게 되는지 이해하지 못하여 그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기백이 대답합니다. 나쁜 바람의 기운피부 사이에 숨어 있어서 안으로 서로 통하지 못하고 밖으로 나쁜 기운을 끌고 나갈 수도 없습니다. 이 나쁜 바람은 몸 속을 잘 돌아다니며 여러 차례 변하는데, 주리(腠理, 외부 기운이 피부를 통과하는 최초의 관문으로 땀구멍 등과 같은 것)가 열리면 오싹하여 춥고 주리가 닫히면 열이 나고 가습이 답답합니다. 주리가 열려 들어온 그 찬 기운이 먹고 마시는 것을 못하게 하고, 주리가 닫혀 받는 그 열기가 몸을 삭여 소모시키게 됩니다. 그러므로 사람으로 하여금 정신이 없어 깜박 깜박 잊게 하고 소름이 끼쳐 떨리기도 하면서 음식을 먹지 못하게 하는데 이를 이르러 한열(寒熱)이라고 합니다.

 

나쁜 바람의 기운이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을 통해 위(胃)에 들어오면 맥을 따라 순환하여 눈의 안쪽눈꼬리(내자內眥)까지 이르는데, 그 사람이 살이 쪘으면 그 나쁜 바람의 기운이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여 열중(熱中)에 시달리게 되는데 이러면 눈이 노랗게 되고, 그 사람이 몸이 말랐으면 기운이 밖으로 빠져나가 추위를 타게 되어 한중(寒中)에 시달리게 되며 이러면 눈물이 나오게 됩니다.

 

나쁜 바람의 기운이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을 통해 각맥의 수혈(兪穴, 등의 척추 양쪽 방향으로 방광경을 따라 이어진 12장부 침자리 https://blog.naver.com/sonwbsy/221314743580)에 이르러 살 속에 흩어지면 위기(衛氣, 맥관의 외부를 운행하면서 체표를 보호하고 장부 등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기운)와 더불어 서로 싸우면서 그 위기(衛氣)의 운행이 순조롭지 못하게 되고 그 싸움으로 인하여 살이 부어 오르고 헐어서 종기가 납니다. 또한, 위기(衛氣)가 방해를 받아 순행되지 못하고 한 곳에 뭉쳐 있으니 몸이 마비가 되는 곳이 있습니다. 편고(偏枯)

 

문둥병은 영기(營氣, 맥관 내에서 혈액과 같이 움직이면서 온 몸에 영양을 공급하는 기운)가 열을 받아 피를 썩게 하고 그 기운이 맑지 못하니, 코뼈가 무너지고 피부색의 윤택이 없으며 피부가 짓무르게 됩니다. 나쁜 찬 바람의 기운(風寒)이 맥에 들어와 물러가지 않으니 이름하여 려풍(癘風)이라고 하고 또는 다른 이름으로 한열(寒熱)이라고 합니다.

 

봄(春) 이나 갑을일(甲乙日)에 나쁜 바람으로 인하여 몸이 상하면 간풍(肝風)이라 하고, 여름(夏) 이나 병정일(丙丁日)에 나쁜 바람으로 인하여 몸이 상하면 심풍(心風)이라 하고, 늦여름(季夏) 이나 무기일(戊己日)에 나쁜 바람으로 인하여 몸이 상하면 비풍(脾風)이라 하고, 가을(秋) 이나 경신일(庚辛日)에 나쁜 바람으로 인하여 몸이 상하면 폐풍(風)이라 하고, 겨울(冬) 이나 임계일(壬癸日)에 나쁜 바람으로 인하여 몸이 상하면 신풍(腎風)이라 합니다.

 

나쁜 바람이 오장육부와 연결된 수혈(兪穴, https://blog.naver.com/sonwbsy/221314743580)에 침투하게 되면 장부(藏府)에 풍병(風病)을 일으키게 되고 오장육부와 연결된 얼굴의 문호(門戶)에 들어가면 반신불수(偏風)가 됩니다. 나쁜 바람이 풍부혈(風府穴, 독맥 중 하나로 뒷목 부근에 있음)을 따라 위로 올라가면 뇌풍(腦風)을 일으키는데 나쁜 바람이 머리를 관통하여 눈으로 가게 되면 목풍(目風)이 되는데 눈이 시려서 뜨지 못하게 됩니다. 술을 마시고 나쁜 바람을 맞으면 땀을 계속 흘리는 누풍(漏風)을 앓게 되고, 섹스를 하여 땀을 흘릴 때 나쁜 바람을 맞으면 갑자기 어지러우면서 의식을 잃고 넘어지며 떨리고 경련이 일어나며 눈과 입이 돌아가며 언어장애가 생기며 반신불수가 될 수 있는 내풍(內風)에 걸리게 됩니다.

 

머리를 새로 감고 나쁜 바람을 맞으면 머리와 얼굴에 땀이 나면서 두통이 있는 수풍(首風)을 앓게 되고, 나쁜 바람이 오랫동안 몸 속에 돌아다니게 되면 설사를 하게 되는 장풍(腸風)에 걸리게 되며, 몸의 바깥쪽인 피부 바로 아래의 주리(腠理)에 머물게 되면 주리가 열려서 땀을 계속 흘리게 되는 설풍(泄風)을 앓게 됩니다. 따라서, 나쁜 바람(風邪)은 만병(萬病)의 우두머리가 됩니다. 그 변화가 다른 병을 일으키게 되고 그 방향도 일정하지 않은데, 이 병들은 모두 반드시 나쁜 바람의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오장(五臟)에 들어간 나쁜 바람의 형태와 증상이 모두 다른데 어떤가요? 그 병들의 진단과 병의 상태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기백이 대답합니다. 폐풍(肺風)의 증상은 땀을 많이 흘리고 바람맞는 것을 싫어하며, 얼굴이 창백해지고, 가끔씩 기침을 하면서 호흡이 거칠고 가빠지며, 낮에는 병에 차도가 있다가도 날이 저물면 심해집니다. 진단을 할 때는 눈썹 위를 보아 판단하는데, 그 곳이 새하얗게 창백하고 핏기가 없어 보입니다. 심풍(心風)의 증상은 땀을 많이 흘리고 바람맞는 것을 싫어하며, 몸의 진액(津液)이 타고 음기(陰氣)가 끊어져서 화를 잘 내고 안색이 붉어지며, 병이 심해지면 말을 빨리 못하고 더듬게 됩니다. 진단을 할 때는 입 주위를 보고 판단하는데, 그 곳이 붉게 나타납니다.

 

간풍(肝風)의 증상은 땀을 많이 흘리고 바람맞는 것을 싫어하며, 잘 슬퍼하는데 안색은 엷은 푸른색을 띄우며, 목구멍이 잘 마르쉽게 화를 내며 時憎女子 때로는 여자를 멀리합니다. 성욕이 감퇴된다는 해석도 있고, 자극적이나 선정적인 사람을 싫어한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진단을 할 때는 눈 아래를 보고 판단하는데, 그 곳이 푸르게 나타납니다. 비풍(脾風)의 증상은 땀을 많이 흘리고 바람맞는 것을 싫어하며, 몸이 게을러져서 나른해지고 팔다리를 움직이고 싶지도 않습니다. 또한, 안색이 엷은 약간 누런 색이 되고 식욕이 없어지게 됩니다. 진단을 할 때는 코 위를 보고 판단하는데, 그 곳이 누렇게 나타납니다.

 

신풍(腎風)의 증상은 땀을 많이 흘리고 바람맞는 것을 싫어하며, 안면이 술에 찌든 것처럼 푸석하고 부어 오르며, 허리가 아파서 똑바로 서 있을 수 없습니다. 또한, 안색이 그을음처럼 검은색이며 대소변을 보거나 섹스를 하는 것이 순조롭지 않습니다. 진단을 할 때는 피부를 보고 판단하는데, 그 곳이 검게 나타납니다. 위풍(胃風)의 증상은 목에 땀을 많이 흘리고 바람맞는 것을 싫어하며, 음식을 먹어도 잘 내려가지 않고 횡격막 쪽이 막혀서 잘 통하지 않아 배가 더부룩해 집니다. 또한, 옷을 입지 않고 배를 덮지 않고 잠을 자서 아랫배가 차지면 윗배가 부어 오르고(䐜脹) 찬 음식을 먹으면 설사를 하게 됩니다. 진단을 할 때는 배의 모양을 보고 판단하는데, 몸이 말랐는데도 배가 불러 있으면 위풍으로 진단합니다.

 

수풍(首風)의 증상은 머리와 안면에 땀이 많이 나고 바람맞는 것을 싫어하며, 발병하기 하루 전에 병이 심해져서 머리가 아파서 방안에서 나오지 못하게 되는데, 나쁜 바람의 기운인 풍기(風氣)가 일어나는 날에 이르면 오히려 병이 조금 낫기 시작합니다. 누풍(漏風)의 증상은 혹여 땀이 많이 나더라도 얇은 옷을 입고 지낼 수 없고 음식을 먹으면 바로 땀이 납니다. 심하면 몸에 땀이 나고 숨이 차며 바람맞는 것을 싫어합니다. 또한, 땀이 나니 옷이 항상 젖어 있고, 입이 말라서 갈증을 많이 느끼며, 힘든 일을 할 수가 없게 됩니다. 설풍(泄風)의 증상은 땀이 많이 나서 땀이 옷 위로 스며나올 정도이며, 입안이 말라서 혀에 얼룩이 올라오고, 나쁜 바람의 기운 때문에 힘든 일을 할 수 없으며, 온몸이 극도로 아프고 나면 추위를 탑니다. 황제가 말합니다. 좋습니다.

 

風論篇 第四十二

 

第一章

 

第一節

黃帝問曰 風之傷人也, 或爲寒熱, 或爲熱中, 或爲寒中, 或爲癘風, 或爲偏枯, 或爲風也,

其病各異, 其名不同, 或乃至五藏六府. 不知其解, 願聞其說.

歧伯對曰 風氣藏於皮膚之閒, 內不得通, 外不得泄.

風者, 善行而數變,

腠理開則洒然寒, 閉則熱而悶,

其寒也則衰食飮, 其熱也則消肌肉, 故使人怢慄, 而不能食, 名曰寒熱.

風氣與陽明入胃, 循脈而上至目內眥,

其人肥則風氣不得外泄, 則爲熱中而目黃;

人瘦則外泄而寒, 則爲寒中而泣出.

風氣與太陽俱入行諸脈兪, 散於分肉之閒,

與衛氣相干, 其道不利, 故使肌肉憤䐜而有瘍;

衛氣有所凝而不行, 故其肉有不仁也.

癘者, 有榮氣熱胕, 其氣不淸, 故使其鼻柱壞而色敗, 皮膚瘍潰.

風寒客於脈而不去, 名曰癘風, 或名曰寒熱.

 

第二節

以春甲乙傷於風者爲肝風;

以夏丙丁傷於風者爲心風;

以季夏戊己傷於邪者爲脾風;

以秋庚辛中於邪者爲肺風;

以冬壬癸中於邪者爲腎風.

 

風中五藏六府之兪, 亦爲藏府之風, 各入其門戶所中, 則爲偏風.

風氣循風府而上, 則爲腦風;

風入係頭, 則爲目風眼寒;

飮酒中風, 則爲漏風;

入房汗出中風, 則爲內風;

新沐中風, 則爲首風;

久風入中, 則爲腸風飱泄;

外在腠理, 則爲泄風.

故風者, 百病之長也, 至其變化, 乃爲他病也, 無常方, 然致有風氣也.

 

第二章

 

帝曰 五藏風之形狀不同者何? 願聞其診及其病能.

歧伯曰 肺風之狀, 多汗惡風, 色皏然白, 時欬短氣, 晝日則差, 暮則甚; 診在眉上, 其色白.

心風之狀, 多汗惡風, 焦絶善怒嚇赤色, 病甚則言不可快; 診在口, 其色赤.

肝風之狀, 多汗惡風, 善悲, 色微蒼, 嗌乾善怒, 時憎女子; 診在目下, 其色靑.

脾風之狀, 多汗惡風, 身體怠墯, 四支不欲動, 色薄微黃, 不嗜食; 診在鼻上, 其色黃.

腎風之狀, 多汗惡風, 面痝然浮腫, 脊痛不能正立, 其色炱, 隱曲不利;

診在肌上, 其色黑.

胃風之狀, 頸多汗惡風, 食飮不下, 鬲塞不通, 腹善滿, 失衣則䐜脹, 食寒則泄;

診形瘦而腹大.

首風之狀, 頭面多汗惡風, 當先風一日則病甚, 頭痛不可以出內, 至其風日則病少愈.

漏風之狀, 或多汗, 常不可單衣, 食則汗出, 甚則身汗喘息惡風, 衣常濡, 口乾善渴, 不能勞事.

泄風之狀, 多汗, 汗出泄衣上, 口中乾上漬, 其風不能勞事, 身體盡痛則寒.

帝曰 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