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주명리학을 이해하는데 있어 오행(五行)의 생극제화(生剋制化)를 모르면 그 심오한 내용을 파악할 수 없다고 할 정도로 중요한 내용입니다. 특히, 사주명리학에서는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의 관계를 해석하는데 많이 사용합니다. 이제부터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다음에 하나씩 풀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 생(生)이란 ‘낳는다’ ‘만든다’ ‘도움을 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 극(剋)이란 ‘통제를 한다’ ‘다스린다’ ‘이긴다’는 의미,
▶ 제(制)란 ‘절제한다’ ‘억제한다’ ‘바로잡는다’는 의미,
▶ 화(化)란 ‘따른다’ ‘변화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생극제화(生剋制化)란 도움이나 자극을 주고 통제를 하면서 변화를 꾀한다는 말입니다. 세상 만물은 음양(陰陽)이 서로 도움을 주고 자극을 주면서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냅니다. 이 음양(陰陽)을 오행(五行)으로 구분하여 적용하면 약간 복잡한 모양이 됩니다. 음(陰)은 금수(金水)로 구분되고, 양(陽)은 목화(木火)로 구분되며, 음양(陰陽)의 변화과정에 토(土)라는 중간요소를 넣어서 오행(五行)이 됩니다.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에 대하여는 천문이야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우리가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 오행(五行)도 음양(陰陽)에서 나왔고, 음양(陰陽)도 둘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태극(太極)이라는 하나라는 점을 이해하고 있어야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관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사주명리학에 나오는 여러 가지 용어에 따른 해석을 책에 나와 있는 대로만 외우지 말고 음양오행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진정한 의미를 파악해야 정확한 이해가 가능하니 여러 가지 자연현상이나 사회현상을 보면서 충분히 이해를 하시기 바랍니다.
1) 오행의 상생(相生)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2) 오행의 상극(相剋)
목극토(木剋土), 토극수(土剋水), 수극화(水剋火), 화극금(火剋金), 금극목(金剋木)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의 내용은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어서 구체적으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극(剋)이 “이긴다”라고 만 이해하지 말고 변화를 꾀하기 위해 통제하고 바로잡는다는 의미를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목(木)이란 억압된 상황을 뚫고 나오는 기운인데, 이는 수(水, 엄청난 압력으로 억압됨을 받아 압축되어 있으면 뚫고 나오려는 힘이 더 강해짐)의 도움을 받고, 화(火, 목木의 도움을 받아 억압된 상황을 빠져 나와 사방으로 흩어져 퍼져 나가는 기운)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또한, 금(金)의 통제를 받음으로써 목(木)의 본체와 화(火)의 기운(神)이 형성 되며(금金이라는 딱딱한 껍질이 없다면 뚫고 나오는 기운(木)이라는 것은 없는 것이며 밖으로 나와서 흩어지려는(火) 것에 대하여는 생각도 할 수 없게 된다는 뜻임), 토(土)가 수(水)를 통제함으로써 목(木)이 억압된 상황인 수(水)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이처럼 오행의 기운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서로가 적절한 힘을 발휘하여야 정상적인 상황이 펼쳐지는 것입니다.
아래에서는 비정상적인 상황을 정리해 봅니다. 자연현상이나 인간관계와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본인 사주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키려면 자연현상에 대한 사례와 이에 대한 해석을 하는 연습이 필요하니 많은 노력 바랍니다.
3) 생(生)의 태과지기(太過之氣)
모자멸자(母慈滅子), 자왕모쇠(子旺母衰)
모자멸자(母慈滅子) : 나를 생(生)해주는 것이 강해서 내가 살 수 없는 상황. (과잉보호)
목다화식(木多火熄) : 나무로 불을 태우는데 나무가 너무 많으면 꺼짐
화다토초(火多土焦) : 용암처럼 불이 너무 강하면 흙도 녹아 버림
토다금매(土多金埋) : 흙이 너무 단단하면 금속을 캐내기 어려움
금다수탁(金多水濁) : 가을에 딱딱하게 메마름이 극심하여 씨앗을 만들지 못함
수다목표(水多木漂) : 물이 너무 많으면 나무가 물을 너무 많이 먹어 불을 태우기 어려움
자왕모쇠(子旺母衰) : 내가 생(生)해주는 것이 강해서 내가 살 수 없는 상황. (내 힘을 빼감)
목다수축(木多水縮) : 나무가 너무 많으면 수분을 다 빨아 들여 물 부족 현상
화다목분(火多木焚) : 불이 너무 강하면 나무가 흔적도 없이 타버림
토다화회(土多火晦) : 흙이 많으면 불을 끌 수 있음
금다토약(金多土弱) : 흙 속에 돌이 많으면 흙이 단단하지 못하여 흩어져 버림
수다금침(水多金沈) : 물이 너무 많아 가을의 메마름 현상(씨앗의 껍질 만들기)이 없어짐
4) 오행의 상모(相侮) : 상극(相剋)관계에서 극(剋)을 받는 것이 더 힘이 강하여 발생
목모토(木侮土), 토모수(土侮水), 수모화(水侮火), 화모금(火侮金), 금모목(金侮木)
목모토(木侮土) 토중목절(土重木折) : 땅이 너무 딱딱하여 새싹이 뚫고 나올 수 없음
토모수(土侮水) 수다토류(水多土流) : 홍수에 흙 제방이 무너짐
수모화(水侮火) 화염수작(火炎水灼) : 양동이의 물로는 큰 산불을 끌 수 없음
화모금(火侮金) 금다화식(金多火熄) : 단단한 금속을 성냥불로는 녹일 수 없음
금모목(金侮木) 목견금결(木堅金缺) : 나무가 단단하면 작은 칼로는 자를 수 없음
'사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장간(支藏干) (0) | 2020.10.04 |
---|---|
육친론(六親論) – 용어정리 (0) | 2020.08.30 |
자평명리학(子平命理學)의 구조 (0) | 2020.08.09 |
사주단자(四柱單子) (0) | 2020.08.09 |
사주팔자(四柱八字) (0) | 2020.07.1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천간합
- 구조조정
- 배달의민족
- 쌍용자동차
- 마이크로소프트
- 두산인프라코어
- 자율주행
- 기업가치
- 요기요
- 인수합병
- 육친론
- 투자전략
- 한앤컴퍼니
- 정부정책
- 네이버
- 우선협상자
- 황제내경
- 파산보호신청
- SK하이닉스
- 이마트
- 알리바바
- 사업구조조정
- SK텔레콤
- 당뇨병
- 카카오
- LG그룹
- CJ대한통운
- 사업부매각
- 자산매각
- 산업현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