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틱톡(TikTok) 인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새로운 변수로 등장했습니다. 중국 상무부가 지난 주말 ‘수출 제한 기술 목록’12년만에 개정하면서 음성·문자 인식 처리, 사용자에 맞춘 콘텐츠 추천, 빅데이터 수집 등 인공지능(AI) 분야 기술제한 목록에 추가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했습니다. 중국 정부의 이런 움직임은 틱톡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는 협상에 개입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됩니다. 틱톡의 앱을 작동하는 핵심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취향과 관심사를 분석해 어떤 동영상을 보여줄지 결정하는 기술인데, 분석 능력이 뛰어나 틱톡의 영업비밀로 지목이 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 회사는 상무부가 수출 제한 기술 목록을 수정해 발표한 것에 주목하고 있다며 앞으로 ‘중화인민공화국 기술 수출입 관리 조례’와 ‘중국 수출 제한 기술 목록’을 엄격하게 준수해 기술 수출에 관한 업무를 처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정부틱톡의 매각 협상 시한을 9월15일로 정하고, 이 시한을 넘길 경우 틱톡 관련 모든 거래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한 바 있습니다. 매각 협상이 시한 안에 마무리 되더라도 중국 정부의 승인이 완료될 때까지는 최종 타결이 어려울 전망입니다. 결국, 틱톡 매각 협상은 매각 조건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 정부의 막판 힘겨루기에 따라 운명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편, 미국기업들핵심 AI 알고리즘을 빼고 인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중국의 수출 규제는 피할 수 있지만 인수 기업으로서는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다른 대체재를 찾아야 하는 '도박'을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가 될 것이라고 로이터는 지적 합니다. 다른 인수 옵션으로는 틱톡의 알고리즘을 인수자에게 넘기게 해 달라고 중국의 승인을 요청하는 방안, 바이트댄스로부터 알고리즘을 라이센싱(Licencing)하는 방안, 협상을 감독하는 미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로부터 최대 1년간 인계기간 (transition period)을 요청하는 방안이 있다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