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음경락(太陰經絡)과 양명경락(陽明經絡)은 토(土: 비脾/족태음비경, 위胃/족양명위경)와 금(金: 폐肺 /수태음폐경, 대장大腸/수양명대장경)의 부위에서 다른 음양 관계를 나타내는 경락으로 여기서는 이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태음경락(太陰經絡)과 양명경락(陽明經絡)은 음양표리로 짝을 이루고 비맥(脾脈)과 위맥(胃脈)이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병이 들면 각각 다른 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음양(陰陽)은 서로 달리 자리를 잡고 있어 교대로 허(虛)해지고 교대로 실(實)해지며, 교대로 거꾸로 흐르고 교대로 순행합니다. 어떨 때는 안을 따르고 어떨 때는 밖을 따르니 그 따르는 바가 달라 병의 이름을 달리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그러면 ..
통평허실론(通評虛實論)이란 허실(虛實)을 설명한다는 뜻입니다. 동양의학에서 허(虛)는 건강한 기운이나 영양이 부족하고 기(氣)의 흐름이 약하다는 것이며, 실(實)은 나쁜 기운이 넘치고 이를 키우려는 영양분이 많고 기(氣)의 흐름이 강하다는 뜻입니다. 질병이 나타나는 이유가 바로 이 허실(虛實)에 의한 것이니 이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허실(虛實)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질병을 일으키는 나쁜 기운(邪氣)이 왕성하면 실(實)하고, 사람의 정기를 뺏기면 허(虛)하다고 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허실(虛實)은 어떠합니까? 기백이 대답합니다. 폐(肺)의 예를 들면 폐는 우리 몸에서 기(氣)를 다스리는데, 기(氣)가 허(虛)한 것은 폐(肺)가 허(虛)..
진(眞)이란 건강과 생명을 유지하는 기운을, 사(邪)란 몸에 질병을 일으키는 기운을 말하고, 이합(離合)은 질병이 몸에 들어오거나 떨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여기서는 몸에 질병이 생기는 원인과 대책, 치료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내가 구침구편(九鍼九篇)에 대하여 들었는데, 선생께서는 아홉 가지 침 놓는 방법과 아홉 가지 치료 방법으로 총 81가지로 나누어 말씀하시니 내가 그 뜻을 다 이해하였습니다. 경락에 있어서 기(氣)가 왕성하고 쇠락하는 것이 좌우가 기울어져서 옮기니 위를 고치기 위해 아래를 조절하고 왼쪽을 고치기 위해 오른쪽을 조절하며, 기(氣)가 부족하거나 남을 경우 영기(營氣)와 위기(衛氣)를 보조(補)하거나 기운을 빼는(寫) 것은 내가 이미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팔정(八正)이란 우주의 여덟 방향의 기운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데, 인체에 침술을 적용할 때 이것에 대한 관찰과 감각을 익혀야 한다는 것입니다. 뒷 부분은 좀 모르겠네요. ㅠㅠ 황제가 묻습니다. 침을 놓는 데는 반드시 법칙이 있을 것인데 어떤 법칙을 따라야 하는 건가요? 기백이 대답합니다. 하늘의 법칙과 땅의 규칙을 따라야 하는데, 하늘에 있는 빛(天光=일월성신日月星辰)의 운행 법칙과도 일치시켜야 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그 내용을 모두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백이 대답합니다. 침을 놓는 법칙은 반드시 해, 달, 별들, 사계절, 여덟 방향 장소의 기(氣)를 살핀 후 그 기(氣)가 안정이 되었을 때 놓아야 합니다. 이런 까닭에 날씨가 따뜻하고 햇빛이 밝게 비칠 때는 사람의 혈(血)이 부드럽게 풀려서 잘..
보명(寶命)은 생명을 보전하여 오래 산다는 의미이고 전형(全形)은 형체를 온전히 보전함을 말합니다. 천지의 만물 중에 사람보다 귀한 것이 없으며 사람의 생명은 하늘과 땅의 기운과 연관이 되어 있으니 사람과 천지자연과 음양변화를 잘 이해해야 사람의 육체를 온전히 보전하여 오래 살 수 있다고 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하늘은 만물을 덮고 땅은 만물을 싣고 있어 이 세상에는 만물을 모두 갖추고 있는데, 사람보다 더 귀한 것이 없는 것은 사람이 하늘과 땅의 기운에 의해 태어나고 사계절의 법칙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군왕은 물론 일반 백성들은 모두 몸을 완전한 형태로 보존하고 싶어하지만, 질병이 몸에 들어오게 되면 그 원인을 알지 못하고 나쁜 기운이 머물러 있으면서 나날이 더 심해지며 골수에까지 붙으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AbmsY/btqMdFp3VMo/ldAKYYasj3TVFIberhYXKk/img.jpg)
혈(血)은 음(陰), 기(氣)는 양(陽)이고 형(形)은 경락의 생김새이고, 지(志)는 경락을 통해 나타나는 성격이나 정신적인 특성을 나타냅니다. 음양경락의 흐름을 통해서 나타나는 정신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치료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무릇 사람의 혈기(血氣)는 각 경락에 따라 그 분포량이 정해져 있는데, 태양경(太陽經)은 항상 혈(血, 음陰)이 많고 기(氣, 양陽)가 적고, 소양경(少陽經)은 항상 혈(血)이 작고 기(氣)가 많으며, 양명경(陽明經)은 항상 혈(血)도 많고 기(氣)도 많습니다. [삼양三陽] 소음경(少陰經)은 항상 혈(血)이 작고 기(氣)가 많고, 궐음경(厥陰經)은 항상 혈(血)이 많고 기(氣)가 작으며, 태음경(太陰經)은 항상 혈(血)이 작고 기(氣)가 많으니, 이것이 하늘의..
인체 오장육부에 대한 기(氣)를 확실하고 분명하게 밝히는 내용입니다. 다섯 가지 맛은 위장을 통해 들어와 신맛은 간(肝)으로 들어가고 매운맛은 폐(肺)로 쓴맛은 심(心)으로 짠맛은 신(腎)으로 단맛은 비(脾)로 들어가서 이를 오입(五入)이라고 합니다. 다섯 가지 기운에 병이 들면, 심(心)은 한숨이 나오고, 폐(肺)는 기침을 하며, 간(肝)은 말이 많아 지고(잔소리), 비(脾)는 신맛이나 쓴맛이 올라오며, 신(腎)은 하품을 하거나 재채기를 합니다. 위(胃)는 기(氣)가 거꾸로 치솟아 딸꾹질이 나고 마음은 두려움을 가지게 되며, 대장(大腸)과 소장(小腸)은 설사를 하고, 하초(下焦)는 물이 넘쳐서 몸이 붓게 되며, 방광(膀胱)은 소변이 잘 나오지 않아 아랫배가 볼록해 지고 괄약근이 오그라들지 않아서 소변이..
인체의 오장육부는 사계절의 변화와 오행의 원리에 따라 형성되고, 오장육부에 병이 나면 오행의 원리에 따라 그 치료법을 적용한다고 합니다. 황제가 묻습니다. 사람의 몸을 구성하는 데는 사계절의 변화와 오행의 원리를 따르는데, 어떻게 하면 그 변화와 원리에 순응하는 것이고, 어떻게 하면 거스르는 것인가요? 이 원칙을 적용하여 효과를 보거나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기백이 대답합니다. 오행이란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이며, 음양이 서로 반복적으로 교차하는 것입니다. 이를 인체에 적용시키면 환자의 죽고 사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치료법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오장(五臟)의 기운이 정해지면, 병이 심해지는 시기와 죽고 사..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수합병
- 파산보호신청
- 이마트
- 쌍용자동차
- 육친론
- 당뇨병
- 투자전략
- 구조조정
- 자산매각
- 천간합
- 카카오
- CJ대한통운
- SK텔레콤
- SK하이닉스
- 두산인프라코어
- 사업구조조정
- 마이크로소프트
- 정부정책
- 배달의민족
- 한앤컴퍼니
- 사업부매각
- 우선협상자
- 자율주행
- 산업현황
- LG그룹
- 네이버
- 알리바바
- 기업가치
- 요기요
- 황제내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